윙배너
윙배너

자동차 부품 성장세 둔화 속, 비용관리 어려움 ‘투자여력·수익성 악화’

창원지역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이자보상비율 급감,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 충당 못해

자동차 부품 성장세 둔화 속, 비용관리 어려움 ‘투자여력·수익성 악화’ - 산업종합저널 동향

지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 간 창원지역 주요 자동차부품 제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전년대비, 2015년에는 2.29%, 2016년 0.01%, 2017년 -3.09%, 2018년 –0.68%를 기록했다. 이는 국내완성차 브랜드의 판매 부진과 창원지역 자동차부품 수출 비중이 가장 높은 대(對)중국 수출 감소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창원상공회의소가 최근 발표한 ‘창원지역 자동차부품 제조업 경영실적 조사’ 실시 결과, 조사대상 51개사는 이 기간 동안 총자산증가율은 2015년 5.55%, 2016년 3.86%, 2017년 1.51%, 2018년 1.58%로 나타났다. 미래 수익창출을 위한 기업들의 투자 수준을 나타내는 유형자산증가율은 2015년 6.43%, 2016년 4.44%, 2017년 2.52%, 2018년 1.24%를 기록해 전반적인 업황 부진에 투자여력이 감소했다.

조사대상은 본점 소재지 창원, 외부감사 대상, 한국표준산업분류 상 ‘자동차 신품 부품 제조업’을 충족하는 51개사를 대상(완성차 계열사 제외)으로 했다.

2014년~2018년 기간 동안 창원지역 주요 자동차부품 제조업의 수익성은 악화된 것으로 보인다.

2014년 3.56%를 기록했던 매출액영업이익률은 2018년 1.86%로 나타나 주된 영업활동으로 인한 이익률이 2014년의 절반 수준으로 하락했다. 업황부진에 따른 매출감소와 최저임금 상승에 따른 비용 증가, 단가인하 압력, 환율 상승으로 인한 원자재 매입가격 상승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매출액 대비 매출원가율은 2014년 88.89%, 2015년 88.23%, 2016년 88.98%, 2017년 89.12%, 2018년 89.16%로, 2016년부터 3년 연속 상승했으며, 판매관리비율은 2014년 7.55%, 2015년 8.10%, 2016년 8.38%, 2017년 9.32%, 2018년 8.98%를 기록했다.

성장성이 둔화되는 가운데 매출원가율과 판매관리비율의 상승으로 지역 자동차부품 제조업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

2014년~2018년 창원지역 자동차부품 제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하락하며 창원지역 자동차부품 제조업의 이자상환능력이 떨어졌다. 연도별로 2014년 512.54%, 2015년 555.14%, 2016년 375.49%, 2017년 187.35%, 2018년 215.13%를 기록해 2018년 이자보상비율은 2014년 대비 절반 이상 하락했다.

규모별로 매출액 1천억 원 이상 기업의 경우 2014년 973.92%, 2015년 1,032.63%, 2016년 576.56%, 2017년 305.46%, 2018년 339.33%로 2015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했고, 1천억 원 미만 기업의 경우 2014년 201.90%, 2015년 161.58%, 2016년 193.94%, 2017년 75.35%, 2018년 58.12%로, 2014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했다.

1천억 원 미만 기업군의 이자보상비율은 2017년부터 2년 연속 100%를 하회하며 영업이익이 이자비용보다 낮은 수준으로 확인됐다.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인 기업의 비중은 2018년 37.5%로 나타나 2014년 대비 2018년 9.9%p 올랐다. 영업적자를 기록한 기업수의 비중은 20.8%로 2014년 대비 10.2%p 많아졌다.

창원상의 관계자는 “자동차부품 제조업은 기계업종과 더불어 창원의 주력산업이며, 미래 먹거리의 빼놓을 수 없는 산업인 만큼 산업생태계 유지와 투자를 유인할 수 있도록 정부의 산업환경 개선 노력과 금융권의 상생의지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