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단순히 기술의 발전을 다루는 것을 넘어,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자 했다. "기계가 모든 일을 할 수 있는 시대에, 인간은 무엇으로 존재하는가?" 이 기획은 그 질문에서 출발했다.
Figure AI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이 인간의 손과 판단을 동시에 복제하는 기술을 앞다투어 내놓고 있는 지금, 자동화는 더 이상 기술 문제가 아니라 사회 구조의 문제다. 본지는 기술의 속도가 인간의 삶을 어떻게 재편하고 있는지를 6편에 걸쳐 게재한다.
이 시리즈는 기술 낙관론도, 종말론도 아니다. 우리는 사라지는 일자리가 아니라, 그 자리를 통해 유지되던 감정과 관계, 그리고 인간다움을 기록하고자 했다. 기술은 도구일 뿐이다. 문제는 그 도구가 누구를 위해 작동하며, 누구를 밀어내는가다.
일의 종말을 말하려고 하는 게 아니다. 오히려 존재의 방식이 바뀌는 순간, 인간은 어떤 것을 지켜야 하는지를 묻고 싶었다. 기계가 흉내 낼 수 없는 것. 바로 그것이 인간이 계속 인간일 수 있는 이유다.
- 1편 | ‘Figure 03’의 등장 — 기계가 인간의 몸을 가질 때
- 2편 | 공장 안의 인간, 그리고 로봇 — 누가 조립하는가
- 3편 | 일의 가치가 흔들릴 때 —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 4편 | 인간이 기계처럼 일할 때 — 자동화된 감정의 현실
- 5편 | 노동이 사라진 이후 — 인간은 무엇으로 존재하는가
- 6편 | 선택의 기로 앞에서 — 기술이 아닌 인간의 방향
미국의 스타트업 Figure AI가 지난 10월 공개한 휴머노이드 로봇 ‘Figure 03’는 단순한 기술 시연이 아니다. 이 기계는 인간의 신체 구조를 모방했지만, 단지 ‘닮기 위해서’가 아니라 인간의 자리를 물려받기 위해 설계됐다. 이 로봇은 사람처럼 걷고, 듣고, 말하며, 상황을 ‘이해하고’ 움직인다.
핵심은 ‘헬릭스(Helix)’로 불리는 통합 인공지능이다. 대형언어모델과 시각·운동 AI가 하나의 알고리즘 체계로 실시간 결합되어, 명령을 받아 움직이는 수준을 넘어 ‘자율 판단’에 가까운 반응을 구현한다. 예컨대 바닥에 떨어진 양말을 접고, 우유를 상온에 두면 냉장고에 넣는 식의 반응은 별도 코드 없이도 스스로 학습한다.
Figure AI는 이 기술을 더 이상 ‘개발 중’이라 하지 않는다. BMW 공장에 Figure 03를 시험 투입해 조립·운반·정렬 작업을 맡기고 있으며, 연간 1만 대 이상 양산 체계를 가동 중이다. 프로토타입을 넘어, 완성품이 인간의 일터에 등장한 첫 사례다.
로봇은 왜 점점 ‘사람의 일’을 원하는가
기계가 노동을 대체한 역사는 길다. 그러나 Figure 03는 이전과 결정적 차이를 보인다. 과거의 산업용 로봇이 반복과 정형성에 최적화됐다면, 이 로봇은 오히려 ‘정형화되지 않은 환경’에 더 적응을 잘한다. 가정, 요양원, 소매점, 물류 창고처럼 예측 불가능한 공간이 이 기계의 주무대가 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Figure AI가 강조하는 것은 “노동의 범주가 아니라 맥락의 이해”다. 이 로봇은 단순한 지시 대신, 환경에서 학습한 경험을 바탕으로 스스로 판단하고 일을 분류하며 시간 효율까지 조율한다. 어떤 의미에서, ‘더 나은 동료’를 지향하는 게 아니라, ‘더 유능한 인간’을 대체하겠다는 선언처럼 읽힌다.
인간 노동 이후를 묻는 첫 사례
Figure AI가 눈여겨보는 시장은 제조업이 아니라 일상 속 노동 시장이다. 실제로 자사는 향후 로봇의 주요 수요처를 물류센터, 가정, 고령자 돌봄 분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영역은 단순히 ‘힘든 일을 대신하는 로봇’이 아니라, 인간의 감각, 판단, 배려, 감정까지 담겨야 하는 영역이다.
때문에 기술 진보에 동반되는 위협은 더 명확하다. 인간의 손에서만 가능하다고 믿어왔던 영역마저 기계가 ‘학습’하게 되면, 노동의 존엄은 어떤 위치에 놓이게 될까. 완벽한 판단과 실수 없는 수행, 끝나지 않는 근무시간은 사용자에게는 혁신이지만, 인간에게는 절망이 될 수 있다.
기술은 도착했는데, 사회는 준비됐는가
현재 Figure 03에 대한 기술적 검증은 계속되고 있다. 센서 오작동, 배터리 수명, 사고 시 법적 책임 등은 여전히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다. 하지만 문제는 기술 그 자체보다도, 이 기술을 받아들이는 사회의 방향성에 있다.
AI가 인간보다 똑똑해지는 순간은 생각보다 빠르게 도착하고 있다. 그리고 로봇이 인간보다 효율적인 시점을 넘어설 때,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인간 노동의 가치를 재정의할 것인가.
시리즈 2편에서는 테슬라의 ‘옵티머스’가 Figure AI와 다른 방향을 택한 이유와, 로봇 산업이 기술 그 이상을 넘어야 하는 한계를 짚는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