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국내 AI 경쟁력, 제조업과 ICT 기술로 키워야”

스마트 고로, 넥스플랜트, 스마트공장 등 제조업에 인공지능 접목

“국내 AI 경쟁력, 제조업과 ICT 기술로 키워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윤근 소장

“국내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자국 강점을 기반으로 진행해야 합니다”

29일 쉐라톤 서울 팔래스 강남호텔에서 열린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기술 AI 경쟁력,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콘퍼런스에서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윤근 소장이 한 말이다.

한국의 인공지능 기술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해 발제한 ETRI의 이윤근 소장은 국내 인공지능 생태계 문제점을 이렇게 지적했다.

미국은 AI를 위해 인재 확보와 스타트업 인수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고 중국은 AI 전문인력 양성, 창업 및 기업 성장을 위해 대규모 투자 중이다. 한국은 글로벌 AI 스타트업이 미국, 중국보다 열악하며 AI 유니콘 기업도 전무하다.

이윤근 소장은 한국이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전방위적인 정부 정책 추진도 중요하지만, 핵심은 선택과 집중이라고 강조했다. 이 소장은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자국 강점을 기반으로 진행해야 한다”며 “한국의 강점인 제조업(자동차, 조선, 석유화학)과 ICT 기술 분야에서 AI와의 융합이 필요하다”라고 했다.

이 소장은 포스코의 스마트 고로, 삼성SDS의 넥스플랜트, LS산전의 스마트공장 등을 예로 들어 제조업에 인공지능을 접목하는 것이 또 하나의 혁신으로 가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기업들이 이미 경쟁력을 확보한 미국은 민간이 투자하기 어려운 기초과학이나 원천기술에 정부가 선제적·장기적 투자를 하고 있다. 중국 역시 정부 주도의 민간기업 육성에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독일은 Industry 4.0 등 특화된 서비스 개발, 인프라 확충을 위해 노력 중이다.

국내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섬세한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한 이 소장은 딥러닝을 넘어선 ‘포스트 딥러닝’ 분야의 연구를 통해 핵심기술을 확보해야 함을 시사했다.

‘데이터’와 ‘컴퓨팅’에 의존하는 빅데이터 기반 AI 기술을 탈피해 ‘규모’ 경쟁에서 ‘기술’ 경쟁으로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한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공학한림원이 주최하고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주관하는 이번 세미나는 머지않아 크게 바뀔 통신산업, 제조, 의료, 금융 등의 핵심기술인 인공지능 기술 경쟁력 모색을 위해 진행됐다.
안호진 기자
news77@industryjo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