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OUTLOOK④] 민간 항공기 제작 확대하는 러시아, 향후 경쟁력은?

정부 주도로 수입 대체화 ‘주력’… 타 국가와의 협력으로 시너지 발휘해야

*[OUTLOOK]에서는 KOTRA 직원과의 인터뷰를 통해 국가별 주요 산업동향을 소개한다. 네 번째 국가는 영토 면적이 세계 1위인 러시아다.

정치적 이슈는 경제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곤 한다. 러시아 경제 역시 마찬가지다. 2014년경부터 크림반도 강제 합병에 따라 서방국가의 제재를 받아온 러시아는 특히 ‘항공산업’에서 정치적 이슈에 따라 휘청이는 모습을 보여 왔다.

KOTRA에 따르면, 러시아 항공산업 중 군사용의 비중은 약 70%에 달한다. 러시아의 항공산업이 서방 경제제재의 영향력을 더더욱 피하기 힘든 구조를 지닌 산업으로 꼽히는 이유다.

정치적 이슈로부터 경제에 가해지는 악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러시아의 항공산업은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항공기 부품의 수입 대체화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민간기 제작’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OUTLOOK④] 민간 항공기 제작 확대하는 러시아, 향후 경쟁력은? - 산업종합저널 동향

“민간항공기 제작, ‘서구기업’과의 기술 협력 필수적”

KOTRA 신북방 동북아팀 박지원 박사는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러시아 민간항공기 제작을 두고 “아직 많은 발전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했다.

러시아의 항공산업은 주로 전투기나 헬리콥터 등 군용항공기 제작 분야에 한정돼 발달해 왔다. 러시아 정부가 민간항공기 제작에 만전을 기하고 있지만, 해외 부품 의존도가 높고 기술이 미약해 더욱 체계적인 전략 마련이 필요한 부분이라는 이유다.

민간항공기 육성을 향한 러시아의 움직임은 정부 주도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2025년까지 세계 민간항공기 제조시장의 3.2%, 군용기 제조시장의 10.9% 확보를 목표로 삼은 ‘2025 항공산업 육성전략’을 발표함과 동시에, 항공산업 관련 제품의 수출 확대와 국산품 개발, 무역 장벽과 기술 규제 축소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

하지만 박지원 박사는 현재에 만족하지 않고, 더욱 체계적인 전략을 토대로 한 추진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서구 기업과의 활발한 기술 협력을 토대로 관련 산업 육성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한다”라고 말한 그는 “적잖은 시간이 투입될 프로젝트인 만큼 장기전에 대해 준비를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