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로봇산업의 발전...방역로봇과 라이다가 ‘증거’

생활방역, 자율주행 등 다양한 곳에 활용되는 로봇 및 관련 부품

로봇산업의 발전...방역로봇과 라이다가 ‘증거’ - 산업종합저널 동향


주문을 받고 음식을 전달하는 로봇(Robot), 정확한 위치까지 물건을 배달하는 로봇 등 이제 로봇은 단순한 반복 작업을 넘어 다양한 기능을 담당하게 됐다.

이렇게 로봇이 발전하는 데는 정부와 민간기업의 노력이 녹아있다. 2019년 3월,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 산업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2023년 4대 로봇강국 도약을 목표로 하는 내용에는 로봇 기업 육성, 국내 로봇 시장 규모 확대 등이 포함됐다.

민간기업도 지속적인 연구 및 기술 개발을 통해 로봇 및 관련 부품을 생산하며 로봇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생활방역이 중요해지면서, 능동적인 방역으로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방역로봇이 등장했다. 또한, 로봇의 눈 역할을 담당하며 주변 환경을 살피는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등 로봇 관련 부품도 발전을 거듭하는 중이다.

생활안전 방역로봇...인공지능 탑재해 직·간접 자외선으로 살균력 극대화

지능형 로봇, 인공지능(AI) 기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SW) 전문 기업인 ㈜케이스랩은 코로나19 등 각종 바이러스와 세균으로부터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줄 생활안전 방역로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은 자외선(UV, Ultraviolet ray) 살균 기능은 물론 간접 자외선으로 주변을 살균하는 기능도 갖췄다. 사람이 없는 공간에는 자외선을 직접 조사해 살균하고 사람이 있는 곳은 간접 자외선을 활용해 방역활동을 하는 것이다.

케이스랩의 국태용 대표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반으로 작동하는 이 로봇은 주변의 사물을 인지해 최적의 경로를 탐색하고 이동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제공하고 음성 기반 동작 안내도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살려 케이스랩은 요양병원, 재활센터 등의 의료기관과 호텔 등의 다중이용시설에 생활안전 방역로봇을 납품할 예정이다.

국 대표는 “코로나19로 인해 생활방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면서 “이번에 개발한 로봇을 통해 바이러스, 세균 등의 감염관리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듀얼 솔리드 스테이트 라이다...높은 내구성에 야외 작동 기능도 갖춰

사람의 눈을 대신해 라이다를 탑재한 로봇은 주변 환경을 인지해 자율적으로 행동하기도 한다.

2D, 3D 라이다를 개발해온 ㈜시그봇은 최근 로봇, 자율주행 자동차 등에 쓰이는 듀얼 솔리드 스테이트 라이다(Dual Solid State LiDAR) 개발을 완료했다.

이번에 개발된 라이다는 8m 이상의 거리 인식이 가능한 2D 카메라 기능과 2m 이내에 위치한 물체의 형상을 인식할 수 있는 3D 라이다 기능을 갖췄다. 이전 제품과 비교하면, 야외에서 작동하는 기능도 추가됐다.

시그봇의 이현민 대표는 “360° 회전하며 주변 환경을 이미지로 만들어내는 스캐닝 라이다는 내부 구동부가 크고 발열, 고장 등의 내구성 문제가 있다”면서 “이번에 개발된 제품은 카메라처럼 고정된 상태에서 찍는 방식으로 스캐닝 라이다보다 내구성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소형, 경량을 특징으로 하는 이 제품은 로봇청소기, 산업용 이동로봇 등 다양한 분야의 로봇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는 “로봇, 자율주행 등 기술이 발전하면 관련 부품 시장도 확대될 것”이라며 “근거리 라이다 개발에 집중하면서 국내외 로봇 관련 기업과도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