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카드뉴스] 테슬라·현대차·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 로봇 개발 경쟁 가속화

자율주행 시스템, 로봇과 뗄 수 없어

[카드뉴스] 테슬라·현대차·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 로봇 개발 경쟁 가속화 - 산업종합저널 로봇
[카드뉴스] 테슬라·현대차·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 로봇 개발 경쟁 가속화 - 산업종합저널 로봇
[카드뉴스] 테슬라·현대차·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 로봇 개발 경쟁 가속화 - 산업종합저널 로봇
[카드뉴스] 테슬라·현대차·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 로봇 개발 경쟁 가속화 - 산업종합저널 로봇
[카드뉴스] 테슬라·현대차·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 로봇 개발 경쟁 가속화 - 산업종합저널 로봇
[카드뉴스] 테슬라·현대차·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 로봇 개발 경쟁 가속화 - 산업종합저널 로봇
[카드뉴스] 테슬라·현대차·혼다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 로봇 개발 경쟁 가속화 - 산업종합저널 로봇








지난 8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개최된 테슬라 AI 데이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테슬라 봇’이 공개됐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자율주행차량에 접목되는 모든 AI 기능이 테슬라 봇에 적용될 것이라고 했는데요.

현대차 그룹 역시 지난해 12월, 소프트뱅크사로부터 보스톤 다이나믹스의 나머지 지분을 인수하면서,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과 2족 보행 로봇 아틀라스(Atlas)를 보유하게 됐습니다.

일본 자동차 기업인 혼다 또한 로봇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 2족 보행 로봇 ‘아시모(ASIMO)’를 만든 혼다는 아이들의 교통사고를 방지하는 로봇 ‘로팟’을 개발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자동차 기업이 로봇 개발에 투자하는 이유는 바로 ‘자율주행차’에 쓰이는 시스템이 로봇 시스템과 맞닿는 부분이 있기 때문입니다.

로봇이 자유롭게 움직이기 위해서는 AI자율 주행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센서를 활용해 공간을 시각화 한 후, 균형을 잡고 장애물을 피해 움직여야 하는 것이죠. 바로 이 기술이 자율주행 자동차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현대차그룹 정의선 회장은 국회 모빌리티 포럼에서 인간을 위한 수단으로 안전성에 중점을 두고 로보틱스 기술을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완성차 기업들이 만들어낼 로봇이 우리의 일상에 함께하게 될 날을 기대합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카드뉴스] 저출산·고령화 위기, AI 기반 생산성 혁신이 해답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노동력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카드 1: 2024년 합계출산율 0.75명,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OECD 평균(43.8세)보다 10세 높아질 전망 노동력 감소→잠재성장률 하락 위험 이러한 변화에 대

[카드뉴스] AI, 2025년 어디까지 왔나?

카드뉴스 1 AI는 더 이상 실험실의 기술이 아닙니다. 이미 의료, 제조, 교육, 교통 등 실생활 곳곳에 깊숙이 자리 잡았습니다. AI가 내리는 진단, 자율주행차, 맞춤형 교육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카드뉴스 2 생성형 AI의 일상화 텍스트, 이미지, 영상까지 만들어내는 생성형 AI가 콘텐츠 제

[카드뉴스] 기계 산업의 혁신과 미래

카드 1: 기계 산업의 미래, 스마트 제조로 나아가다 "2024년, 기계 산업은 스마트 제조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자동화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여 더 효율적이고 정밀한 제조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카드 2: 디지털 트윈, 기계 산업의 새로운 변화 "디지

[카드뉴스] 올해 IoT의 미래를 바꿀 8가지 키워드

카드뉴스 1 2030년, IoT 연결 장치 400억 대 시대! 2030년까지 전 세계 IoT 기기 수가 400억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집, 자동차, 공장 등 우리 생활 곳곳이 더 촘촘하게 연결됩니다. 카드뉴스 2 2025년, IoT의 핵심 트렌드는? 올해 IoT는 AI, 5G, 엣지 컴퓨팅 등 첨단 기술과 결합해

[카드뉴스] 얼어붙은 소비심리와 위축된 소매시장

카드 1: 소비심리, 3분기 연속 하락 대한상의 조사 결과,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는 77로 집계됐습니다. 고물가와 고금리, 그리고 경제 불확실성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소비시장의 장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카드 2: 소비시장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 소비심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