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스마트공장 솔루션 업체, AI 개발 한창인데…"빅데이터 부족해"

데이터 공급 활력 위해선 AI전문가 양성·캠페인 등 지원 필요

스마트공장 솔루션 업체, AI 개발 한창인데…"빅데이터 부족해" - 산업종합저널 동향
지난 6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2 스마트팩토리·자동화산업전'에 전시된 스마트공장 모형


지난해 초 정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스마트공장 보급 사업을 기초 단계 사업에서 고도화 위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에 맞춰 스마트공장 솔루션 공급 기업들도 기존의 기초 단계 기술에서 고도화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고도화 단계의 핵심인 기술인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기술의 연구·개발이 솔루션 업체를 중심으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AI 개발에 사용하는 데이터 수집의 어려움으로 인해 개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본지 기자는 지난 6일 열린 ‘2022 스마트팩토리·자동화산업전'에 참여한 스마트공장 솔루션 업체를 만나 AI 기술 개발의 난점과 그 원인을 파악해봤다.

데이터 확보 중요한데 현장에선 “부족하다”…‘데이터 가뭄’ 우려
이세돌 바둑 9단을 꺾은 구글의 알파고가 16만 여 개의 기보를 학습했던 것처럼, 일반적으로 AI 개발이 이뤄지려면 수많은 사례의 습득과 학습을 반복하는 딥러닝 과정이 필요하다.

AI 개발을 위해서는 방대하고 유의미한 충분한 자료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데이터 수집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기업 입장에선 기초 단계인 '데이터 확보'라는 벽을 가장 먼저 만난다. 결국, 개발 초기부터 난항에 맞닥뜨릴 수밖에 없다.

현장에서 만난 솔루션 업체 연구원 A씨는 "애로사항이 무엇"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기본적으로 AI활용을 위해서는 많은 양의 빅데이터 (확보)가 선행돼야 한다”라는 전제부터 했다. A씨는 “하지만, 중소기업의 경우 정보 유출에 대해 꺼려하고, 생산하는 데이터양이 워낙 적다보니, AI개발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라고 토로했다.

서울 소재의 AI 솔루션 업체 직원 B씨는 "기업입장에선 선뜻 데이터를 제공하기가 어려워, 솔루션 업체 입장에선 데이터 확보가 쉽지 않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현상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다. 현장에서 만난 또다른 업계 관계자는 "예전부터 늘 데이터 가뭄을 겪어야 했던 업체와 인프라를 구축한 기업 간 격차는 크게 벌어질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해 스마트제조혁신협회 김문선 사무국장은 “중소 제조업의 경우 (데이터 수집 장치)가 각 공정 라인에 부분적으로 도입돼 있는 곳이 많아, 데이터를 수집을 하더라도 전체 공정의 자료가 종합적으로 취합이 안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AI가 처리할만한 완전성을 갖춘 데이터보다는 단절된 정보들이어서 원하는 수준을 맞추지 못하고 있다는 말로 풀이된다.

스마트팩토리 AI 시장, 아직 미성숙한 문제…AI전문가 양성·캠페인 등 지원 필요
김문선 사무국장은 AI 시장이 아직 미성숙 단계에 머물고 있는 점도 원인 중 하나라고 꼽았다.

그는 “이런 문제들이 개별 기업의 문제인지 아닌 지는 아직 판단이 안 되지만, 시장의 미성숙 문제로 보는 게 맞는 것 같다”라며 “AI전문가가 중소기업 현장에 적절히 배치된다면, 현장 특성에 맞는 개선점이 도출될텐데,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AI전문 인력 확보가 어렵고, 공급 업체의 도움은 있겠지만 이 또한 한계가 있다”라고 지적했다.

중소기업 입장에선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가 있어 선뜻 데이터를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업마다 AI전문 인력이 적절히 공급된다면 이러한 문제도 줄일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김 사무국장은 “각 현장에 AI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인력 수급이 시급하게 이뤄져야 한다”라며 “현재 (스마트공장)AI 시장은 시작 단계에 있기 때문에 성숙도 재고를 위한 캠페인이라든지 정부 사업의 지속성이 필요하고, 기업간 기술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정부 지원과 공급기업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뤄져야 한다”고 제언했다.
강현민 기자
khm546@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기획 2편] “인간형 로봇의 꿈, 기술보다 더 느리게 걷는다”

2021년, 일론 머스크는 “앞으로 육체노동은 선택이 될 것”이라며 ‘옵티머스(Optimus)’라는 이름의 인간형 로봇을 세상에 소개했다.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걷고 말하며 노동을 수행할 수 있는 ‘진짜 로봇’의 탄생이었다. 그는 이 로봇이 테슬라 차량보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기획 1편] 인간의 일을 넘겨받은 기계, Figure 03의 선언

“인간형일 필요는 없었다…그러나 인간의 자리로 들어왔다” 인간은 오랫동안 ‘일’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증명해왔다. 하지만 지금, 이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로봇이 현장을 대체하고, 인공지능이 생각을 모방하며, 일하는 인간의 자리가 서서히 해체되고 있다. 본지는 이 흐름 속에서

[심층] ‘유령기지국’ 통한 소액결제 피해…디지털 인증 체계의 사각지대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에서 KT 이용자를 중심으로 소액결제 피해가 다수 보고되면서, 불법 초소형 기지국, 이른바 ‘유령기지국’ 개입 가능성이 제기됐다. KT는 9일 일부 통화 기록에서 실존하지 않는 기지국 ID가 확인됐다고 밝혔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현장

[심층기획] “기술을 지켰다면, 사업은 무너지지 않았다”

기술을 빼앗겼다는 확신이 들었을 때, 그는 너무 늦었음을 깨달았다. 함께 개발하자며 도면을 요청한 상대는, 이후 연락을 끊었고 몇 달 뒤 유사한 제품을 출시했다. 계약서에는 권리 귀속 조항이 없었고, 그가 증거라고 주장한 파일은 상대 기업의 서버에 있었다. 법원은 입증 부족을 이유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