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MICE 산업과 환경①] 마이스 산업, 지역사회 경제활동 부흥···이면에는 환경 문제 대두

폐기물 분해, 목재 약 20년, 현수막 30~40년 소요

도심 곳곳에서는 주마다 다양한 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지금도 전시장 한 편에선 다음 열릴 행사를 위한 준비로 분주한 모습이다. 행사 규모와 취지에 맞게 플라스틱이며 철근, 나무 목재 따위로 전시장은 매주 새로운 옷을 갈아입는다.

그렇다면 부스를 제작하는 데 활용하고 남은 자재들은 어디로 갈까? 재활용은 되고 있을까?

이와 관련해 본지는 실제 마이스(MICE) 산업에 대한 ESG(Environment, 환경 Social, 사회 Governance, 지배구조)경영 현황과 업계 상황을 알아보고,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파악해본다.


[MICE 산업과 환경①] 마이스 산업, 지역사회 경제활동 부흥···이면에는 환경 문제 대두 - 산업종합저널 동향

마이스 산업···환경 분야, 선택 아닌 필수 항목

마이스 산업은 한 지역에 랜드마크를 조성함으로써, 해당 지역 경제활동 부흥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마이스는 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ravel), 컨벤션(Convention), 전시회(Exhibition) 등을 일컫는 복합적인 전시 산업을 말한다. 만약 전시장을 보유한 지역에서 국제 전시 행사를 개최하면, 국내를 포함한 해외 관람객들이 해당 지역으로 모여드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방문 효과는 관할 지역 사회에 큰 영향을 준다. 이는 전시장을 방문한 관람객들의 소비가 주변 상권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현재까지도 전시 산업은 각 지자체에서 보유한 전시장을 통해 다양한 행사가 활발하게 열리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전시업계가 환경 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역 사회의 경제적인 효과를 낳는 마이스 산업의 화려한 이면에는 많은 양의 쓰레기 폐기물들이 버려지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최근 환경 문제로 인해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 각 주요 국가들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 선언과 ESG경영 평가에 대한 내용을 중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환경 분야는 마이스 산업뿐만 아니라 전 산업에 있어 선택이 아닌 필수 항목이 됐다.

전시업계, 개막부터 폐막까지 많은 양의 폐기물 발생

[MICE 산업과 환경①] 마이스 산업, 지역사회 경제활동 부흥···이면에는 환경 문제 대두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료=123RF

전시 행사에 참가하는 기업들은 부스 면적을 선택 후, 전시 부스 전문 업체에 디자인을 의뢰한다. 먼저 기본 부스 형태는 주로 조립식 트러스 골조로 이뤄진다. 조립이 완료되면 기업명이 인쇄된 현수막과 함께 배치되고 있다.

수려한 부스 디자인을 원하는 기업들은 독자적인 부스 디자인을 의뢰하기도 한다. 조립식 골조보다는 다양한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목재를 활용하고 있다.

이후 전시가 종료되면 기간 내 부스로 사용한 자재들은 폐기한다. 조립식 골조 같은 경우에는 분리 후, 다른 전시회에서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목재나 현수막, 플라스틱 등은 재활용하기가 쉽지 않아 그대로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폐목재가 분해되기까지는 약 20년이 소요되며, 현수막의 경우는 약 30년에서 40년이 소요된다. 이처럼 평균적으로 2박 3일 일정으로 진행되는 전시회는 개막부터 폐막까지 많은 양의 폐기물을 배출하고 있다.

최근 전시 행사를 주최한 한 기업 관계자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목재로 제작한 부스는 페인트로 인해 철거 시, 재활용이 불가능하다” 면서 “또한 페인트가 없는 목재 같은 경우에도 수많은 못이 남아있어, 이를 일일이 제거하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공동취재=최 준 기자·강현민 기자]


0 / 1000


많이 본 뉴스

[자동차 산업 메가트렌드, 전동화①]전문가의 눈으로 본 자동차 산업 변화

전기자동차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2023 서울모빌리티쇼(SEOUL MOBILITY SHOW 2023)’에 참여한 완성차 업체들은 모두 ‘전동화’의 흐름을 이어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완성차 기업뿐이 아니다. 애플을 비롯한 거대 ICT기업들도 전기차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 소비자도 적극적이다. EV트렌드코리

[공동주택 급배수관 소음과의 전쟁①]지하 기계실부터 감압밸브까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서 소음은 거주자의 쾌적한 생활을 방해하는 요소다. 한 장의 벽이나 바닥을 사이에 두고 여러 세대가 생활하기 때문에 그 소음원도 다양한데, 그 중 물을 사용해 발생하는 ‘급배수소음’도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급배수소음은 경우에 따라 강도가 다르고 때로는 무시

[제조 현장의 인공지능①] 제조공정 효율화·제품 품질관리 활용되는 인공지능

많은 데이터를 단기간에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다.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3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2023 Smart Factory․Automation World)'(이하 전시회)에서 인공지능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살펴봤다. 전시회에서 만난 김현용 충북

디지털트윈 핵심,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디지털트윈 기술을 사용하면 설계 단계에서 사업의 모든 체계를 사전에 가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이후에 시스템 동작의 효율성을 높인다. 디지털트윈 기술의 핵심적 요소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디지털트윈 기술의 활용범위는 사실상 무한하다. 디지털트윈 기술은 작게는 게임과 애니

[UAM ①]개발 어려운 도심항공모빌리티, 경쟁 치열한 이유는?

도심항공교통(Urban Air Mobility, 이하 UAM)은 자동차 중심의 지상 교통체계를 공중으로 확장한 것으로, 저고도(300m~600m)의 하늘길을 이용하는 새로운 항공 운송 생태계 전체를 의미한다. 기존의 항공교통은 승객이나 화물을 높게, 빠르게, 멀리 운송하는 것이 특징인 반면, UAM은 도심 저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