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동차 업계는 4차 산업의 발달과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행보가 맞물려 차세대 모빌리티 대전환기를 맞이했다.
이에 본지는 관련 업계 동향에 대한 자료를 알아보고, 최근 현황에 대해 파악해봤다.
국토부, 차세대 모빌리티 시대 위한 ‘로드맵’ 발표
디지털 기술이 발달하고 ICT 및 플랫폼 첨단 기술이 융·복합하면서, 모빌리티 시대에 맞는 다양한 이동 서비스가 확산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정부 주도 아래 차세대 모빌리티 시대에 대응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모빌리티 혁신 로드맵을 발표했다.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올해 말 레벨 3에 해당하는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고, 2025년까지 완전자율주행 버스 및 셔틀 등을 통해 기존 대중교통 체계를 자율주행 기반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또한, 내년부터 UAM, 전기·수소차 등 미래 모빌리티와 기존 철도·버스 등을 연계할 수 있는 모빌리티 미래형 환승센터(MaaS Station)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실시간 통신 인프라도 조성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약 11만km에 달하는 전국 도로에 통신 인프라를 구성할 예정이며, 자율주행 체계에 대한 지원이 요구되는 도심부 등 혼잡 지역에는 2027년까지 선제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앞으로의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은 지난 2017년 집계된 2천400조 원에서 2030년에는 8천7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며 ‘특히 무인 택시, 공유 모빌리티, 차량 호출 등 서비스 시장은 기존 80조원에서 약 3천275% 증가한 2천700조원으로 급격히 성장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내연기관용 부품 제조업체,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 필요해
이처럼 모빌리티 개발 산업이 빠르게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업계는 탄소 발생 가스를 내뿜는 내연기관용 차량을 대체할 전기, 수소, 하이브리드 등의 미래차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환경 문제로 인해 전기차 및 수소차 공급이 급격히 진행되면서, 기존 내연기관차용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은 제품 수요가 점차 줄어들고 있어,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한국자동차산업국제화재단 관계자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앞으로의 내연기관차 부품제조는 탄소중립을 이행하는 2030년까지 지속되겠지만, 미래차 전환기를 고려하면 기존 내연기관차용 부품 제조업체들의 업종 전환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해외 OEM 업체 주문량 또한 감소했다. 이에 대해 재단 관계자는 “해외 기업들도 새로운 모델 개발과 더불어 필요한 첨단 부품 개발에 성공하고, 공장 라인에 대한 현지 구축이 늘면서, 제품 주문에 대한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이 업종을 전환하는 과정에는 미래차에 새롭게 적용되는 설비 투자 비용과 많은 실업자들이 발생할 것”이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계 및 정부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