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산업+Culture] SF 영화로 보는 로봇 윤리 문제

미래 로봇시대 표본 ‘정이’와 ‘앤드류’

[산업+Culture] SF 영화로 보는 로봇 윤리 문제 - 산업종합저널 동향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정이'(출처=네이버 영화)

* 주의! 글의 특성상 스포가 있습니다!

22세기 급격한 기후변화로 폐허가 된 지구, 인류는 우주에 쉘터를 만들어 이주하지만, 오랜 내전을 겪고 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주인공 ‘윤정이(김현주)’는 백전백승 수많은 작전을 성공시킨 전설의 용병이다.

그녀는 딸 ‘윤서현(강수연)’의 치료비를 위해 위험한 작전에 계속해서 참여한다. 하지만 단, 한 번의 작전 실패로 식물인간이 되면서, AI(인공지능) 개발회사 크로노이드에 뇌를 복제 당하게 된다.

크로노이드는 내전을 끝내기 위해 복제한 정이의 뇌를 휴머노이드 로봇에 적용해 대량 생산하며, 일명 ‘정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35년 후, 딸 서현은 이 프로젝트의 연구팀장이 되어 전투용 AI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

[산업+Culture] SF 영화로 보는 로봇 윤리 문제 - 산업종합저널 동향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정이'(출처=네이버 영화)

그러나 실험 중이던 정이는 자신의 신체가 개조된 것을 보자, 고통을 호소하며 비명을 지른다. 그녀는 실패했던 작전을 마지막 기억으로, 인간이었던 시절의 감정을 느끼고 있었다.

크로노이드는 계속되는 시뮬레이션에도 진전이 없자, 기존 프로젝트와는 별개로, 상품화를 위한 또 다른 프로젝트를 준비한다. 이를 알게 된 서현은 엄마(정이)가 더 이상 고통 받지 않도록 정이와 함께 연구소를 탈출할 계획을 세운다.

연상호 감독의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정이’는 미래 지구의 디스토피아를 담은 작품이다. 세계관 속에서는 미래 인류의 욕심과 인간의 뇌를 복제한 로봇의 인권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처럼 앞으로 다가올 로봇시대의 로봇 윤리 의식 문제는 오래 전부터 거론된 주제였다.

[산업+Culture] SF 영화로 보는 로봇 윤리 문제 - 산업종합저널 동향
영화 '바이센테니얼 맨'(출처=네이버 영화)

또 다른 로봇 영화 바이센테니얼 맨(2000년作)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이작 아시모프의 단편소설을 영화화 한 이 작품은 로봇의 윤리 문제를 심도 깊게 다루고 있다. 작품을 보면, 가사로봇으로 생산된 앤드류 마틴(로빈 윌리엄스)에게는 특별한 일이 발생한다. 엔지니어의 실수로 복잡한 회로에 문제가 생긴 것이다.

이로 인해 앤드류는 신경계 이상으로 사람처럼 생각하고, 호기심을 지니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목조 조형에 두각을 나타낸 앤드류는 주인 리처드의 도움으로 작품 활동을 하며, 개인 계좌도 만들게 된다.

시간이 흘러, 늘 작은 아가씨라고 불렀던 리처드의 딸 아만다 마틴이 어엿한 여인으로 성장한다. 인간의 감정을 점차 이해하게 된 앤드류는 아름다운 아만다를 보고는 설레임으로 가득찬다.

하지만, 작은 아가씨는 정혼자와 결혼을 하고, 자신에게 평생 호의를 베푼 리처드가 사망하자, 자신과 같은 감정을 느끼는 로봇을 찾아 집을 나선다. 그는 여행 중 만난 루퍼트에게 도움을 받아, 자신의 차가운 금속면에 인공피부를 입힌다. 인공장기도 만들어 자신의 몸속에 배치해 사람처럼 음식도 먹을 수 있게 됐다.

여행의 끝자락에서 수십 년, 집에 돌아온 앤드류는 할머니가 된 아만다를 맞이한다. 그곳에는 그녀를 닮은 손녀 포티아도 있었다. 앤드류는 다시 한 번 주체할 수 없는 설레임을 느끼며, 이번에는 꼭 인간이 되리라 다짐한다.

[산업+Culture] SF 영화로 보는 로봇 윤리 문제 - 산업종합저널 동향
영화 '바이센테니얼 맨'(출처=네이버 영화)

이러한 앤드류의 노력 끝에 결국, 포티아와 사랑의 결실을 맺는다. 하지만, 로봇과 인간 사이에 결혼은 인정되지 않았다. 앤드류는 의회에서 자신을 인간으로 인정해달라고 청원하지만, 육체 불멸의 이유로 거절당한다.

그는 자연히 늙기 위해 자신의 몸에 인간의 혈액 구조를 만든다. 노화돼 죽을 수도 있었지만, 인간이 되겠다는 그의 의지는 꺾을 수 없다.

다시 수십 년이 지나, 포티아는 늙어 생명 유지 장치로 연명하고 있다. 앤드류 또한 노인이 된 모습으로 다시 한 번 의회를 찾아,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인정해달라고 호소한다. 의회는 200살로 최고령 인간이 있음을 인정하며, 그의 결정을 존중하게 된다.

최근 현실에서는 인공지능 개발의 고도화가 이뤄지고 있다. 영화에서만 보던 휴머노이드형 로봇과의 만남이 이제는 가까워졌다는 얘기다. 미래 속 인류와 로봇의 모습은 어떨까?

현재는 서빙로봇, 산업용 로봇이 상용화되고 있지만, 영화 속 로봇처럼 사람과 대화하고, 가사를 돕는 휴머노이드형 로봇의 개발은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곧 다가올 로봇시대를 맞이하기 위해서는 이에 맞춘 대응책도 중요해진 시점이 아닐까.


0 / 1000


많이 본 뉴스

[산업+Culture] 편견 없이 학습하는 인공지능의 함정 ‘알고리즘의 편견’

2016년 대중에게 처음 모습을 드러낸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공지능(AI) 테이(Tay)는 사람들과 대화한 지 16시간 만에 사용 중지를 당했다. 자극적인 내용의 정치적 발언은 물론, 인종차별 등 ‘편견’으로 가득한 발언들을 내뱉었기 때문이다. [편견(Bias)] 어떤 사물이나 현상 등에 대

[산업+Culture] 미래 우주 시대, 함께 살기 위한 길 - ‘마션’

* 주의! 스포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x됐다. 그것이 내가 심사숙고 끝에 내린 결론이다” 파격적인 첫 문장으로 시작하는 동명의 소설이 원작인 영화 ‘마션(Martian)'(리들리 스콧 감독, 2015)은 NASA의 화성탐사대원 마크 와트니(맷 데이먼)가 화성에서 홀로 살아남아 지구로 돌아가기 위해 분투

[산업+Culture] ‘후아유’, 메타버스(Metaverse)의 미래를 점치다

지난 2019년 발생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점차 전 세계로 퍼져나가면서, 언택트 시대가 도래했다. 국내도 예외는 아니었다. 많은 기업들이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면 업무를 대체할 하나의 대안으로 메타버스(Metaverse) 시스템을 도입했다. 메타버스는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 세계

[산업+Culture] 부조리 속 근로자의 눈물,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주의! 스포가 있습니다. 7년간 원청업체 근무를 했지만, 돌아온 것은 권고사직이었다. 자리를 버티고 있자 하청업체로 파견 발령이 났다. 하청업체 파견직 1년을 채우면 원청으로 복직할 수 있다는 조건이지만, 말이 발령이지, 사실 제 발로 나가라는 뜻임을 안다. 그러나 내 자리를 다시 돌려

[산업+Culture] 빅데이터 사회, 더 중요해지는 인간의 선(善) ‘조작된 도시’

‘눈을 뜨니 앞이 흐릿하고 어지럽다. 두 손을 묶은 은색 수갑이 보인다. 잠을 자고 일어난 것 같은데, 경찰이 내게 살인자라고 한다. 한 여자를 죽였다는데 전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나는 그저 그 사람의 휴대폰을 주워서 돌려주고, 조금 많은 사례금을 받았을 뿐인데. 내가 살인자라니. 전혀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