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전용 수소 물량이 급증해 생산·유통되는 수소의 양이 함께 증가함에 따라 대규모 수소 수요에 대응토록 하는 수급 계획 추진의 목소리가 커진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종로구 광화문 HJ비즈니스센터에서 수소수급전망 수립을 본격 추진하기 위해 ‘제 1차 수소 수급실무위원회’를 27일 발족했다.
이번 회의에서 학계, 업계, 유관기관 등 수소 전문가들로 구성된 실무위 위원들이 참석해 수소수급전망 추진방향 및 수급 실무위 운영계획 등에 대해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이옥헌 과장은 인사말과 함께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은 수소는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커감에 따라 수급관리를 면밀히 할 의무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옥헌 과장은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데 수소의 역할이 크다면서 “올해 수소버스 400대 이상을 대량으로 보급해 수소 수요에 대응하는 수급 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유승훈 교수는 “앞으로 수소의 수요가 많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산업용 철강 부문에서 자가발전용 및 공정용에 필요한 수소 수요를 파악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했다.
유승훈 교수는 수소 수요 대응을 위해서 충분한 공급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이에 대한 논의사항을 지속적으로 주고받으며 수요예측을 분석하고 있다라는 말로 끝맺었다.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