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AI 엑스포](주) 바로에이아이, 수냉식 AI 연구 하드웨어...“AI 개발에 GPU가 중요”

코엑스에서 12일까지 ‘국제인공지능대전’ 열려

[AI 엑스포](주) 바로에이아이, 수냉식 AI 연구 하드웨어...“AI 개발에 GPU가 중요”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10일 열린 ‘2023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에서 인공지능 솔루션 전문 기업인 (주)바로에이아이가 수냉각 서버 하드웨어 솔루션을 제시했다.

이 업체는 대규모 연구를 위한 수냉각 하드웨어를 스테이션과 서버 랙, 두 종류로 구성해 출품했다. 바로에이아이 관계자는 “AI연구가 심화되면서 알고리즘과 데이터는 거대해졌다”라며 “고성능의 PC에서 발생하는 발열과 소음을 수냉각으로 제어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의 AI 대결에서, 승자는 엔비디아라는 말이 있다.”라며 “그만큼 하드웨어, 특히 GPU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업체가 구성한 수냉각 하드웨어는 GPU가 여러 개 포함됐다. 엔비디아가 만든 CUDA를 활용, AI 개발 과정에서 GPU가 간단한 연산을 병렬로 빠르게 계산하게 한다는 설명이었다.

한편, ‘2023 국제인공지능대전(AI EXPO KOREA)’는 12일까지 서울 코엑스(COEX) D홀에서 열린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기술의 진화와 미래, 공존하는 '기회'와 '우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 영향력은 산업, 의료, 교육, 금융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으며, AI를 활용한 자동화와 데이터 분석 기술이 많은 일상적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AI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에는 기대와 함께 우려도 존재한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대한민국 제조업, 인공지능(AI) 자율제조로 혁신

산업통상자원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인구구조 변화, 탄소 감축 등 현안 문제를 해결할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산업부는 28일 안덕근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협약식'을 열고, 현대자동차, GS칼텍스, 삼성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