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온라인 쇼핑몰 상품 추천하는 'AI 점원' 등장

대화로 소비자 요구 파악, 판매량 높이는 정보 제공

온라인 쇼핑몰 상품 추천하는 'AI 점원' 등장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인공지능(AI)이 온라인쇼핑몰 점원으로 변신했다.

서울 세텍(SETEC)에서 21일 개막한 ‘2023 서울 이커머스페어(KOREA E-Commerce Fair, 이하 이커머스페어)’에 ‘AI 점원 솔루션’이 나왔다.

조용원 와들 CSO는 “오프라인 매장은 점원과 대화하며 상품을 찾지만, 온라인 쇼핑몰은 어려웠다”면서 “원하는 상품을 찾지 못해 떠나는 고객이 없도록 AI 점원이 맞춤 상품을 찾아준다”라고 설명했다.

AI 점원은 소비자와 자연스럽게 대화하며 요구를 파악한다. 의도에 맞는 상품을 추천해 소비자의 이탈을 줄일 수 있다.

조용원 CSO는 “AI 점원은 영업할수록 판매량을 높이는 방법을 학습한다”면서 “어떤 정보를 제공했을 때 구매로 이어졌는지 확인해 구매율을 개선한다”라고 말했다.

수집한 데이터로 고객의 구매 결정을 높일 추천 근거도 파악할 수 있다. 조 CSO는 “이커머스 사업자들은 구매자가 어떤 의도로 구매하는지, 왜 사지 않는지 알 수 없었다”며 “대화를 통해 구매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챗봇과 다른 AI 점원의 장점”이라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기술의 진화와 미래, 공존하는 '기회'와 '우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 영향력은 산업, 의료, 교육, 금융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으며, AI를 활용한 자동화와 데이터 분석 기술이 많은 일상적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AI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에는 기대와 함께 우려도 존재한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대한민국 제조업, 인공지능(AI) 자율제조로 혁신

산업통상자원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인구구조 변화, 탄소 감축 등 현안 문제를 해결할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산업부는 28일 안덕근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협약식'을 열고, 현대자동차, GS칼텍스, 삼성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