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AI로 영상 속 얼굴 ‘자동 모자이크’

개인정보 비식별 기술 중요도↑…“현장 목소리 듣고 꾸준히 개선할 것”

AI로 영상 속 얼굴 ‘자동 모자이크’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인공지능(AI)으로 영상 속 개인정보를 지운다.

경성테크놀러지가 3일 일산 킨텍스에서 진행 중인 ‘2023 디지털미디어테크쇼(Digital Media Tech Show, DMTS)’에서 ‘영상 개인정보 자동 비식별화 솔루션’을 소개했다.

개인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 얼굴이나 차량 번호판 등을 AI가 자동으로 모자이크한다. 기존에는 영상 제작자가 프레임별로 모자이크를 넣었지만, 이 과정을 AI가 대신해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다.

관계자는 “유튜브와 SNS 등이 성장하고 있지만 개인정보나 초상권 침해를 예방할 대안은 부족한 상황”이라면서 “모자이크 처리가 잘 지켜지지 않아 솔루션을 개발했다”라고 밝혔다.

경성테크놀러지는 현장의 의견을 듣고 개선점을 찾기 위해 전시회에 참가하고 있다. 웹 서비스 형태로만 솔루션을 제공했지만, 현장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프로그램 형태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얼굴을 모자이크해도 상반신만으로 개인정보를 식별하는 사례가 늘자 모자이크 범위도 늘렸다. 관계자는 “상용화된 AI 모자이크 기술은 많지만, 대부분 얼굴만 처리해 불편이 있었다”면서 “상반신까지 모자이크 범위를 확대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개인정보 비식별 기술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만큼, 꾸준히 개선점을 찾아 현장에 필요한 솔루션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기술의 진화와 미래, 공존하는 '기회'와 '우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 영향력은 산업, 의료, 교육, 금융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으며, AI를 활용한 자동화와 데이터 분석 기술이 많은 일상적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AI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에는 기대와 함께 우려도 존재한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대한민국 제조업, 인공지능(AI) 자율제조로 혁신

산업통상자원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인구구조 변화, 탄소 감축 등 현안 문제를 해결할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산업부는 28일 안덕근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협약식'을 열고, 현대자동차, GS칼텍스, 삼성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