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국제 하드웨어 전시회 아이젠바렌메쎄 개최

3월 3일~6일 독일 쾰른에서 최다 참가·최대 규모 열려

국제 하드웨어 전시회 아이젠바렌메쎄 개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사진=쾰른메쎄 한국대표부 라인메쎄제공

국제 하드웨어 전시회 “아이젠바렌메쎄(Eisenwarenmesse)가 다음달 3일부터 6일까지 독일 쾰른에서 개최된다.

1971년부터 격년마다 개최된 아이젠바렌메쎄는 전 세계 하드웨어 업계 관계자가 주목하는 명망 있는 전시회로 손꼽힌다. 전시품목으로는 공구, 작업장 설비, 공장설비, 건축 및 인테리어 재료, DIY, 파스너 기술, 보호 장비 등 하드웨어∙공구 산업 전체를 아우른다.

‘독일제 하드웨어’ 대표주자 ‘뷔하(Wiha)’와 ‘헤티히(Hettich)’, 스웨덴의 ‘라피드(Rapid)’, 스페인의 ‘이레가(Irega)’, 이탈리아의 ‘스탠리블랙앤데커(Stanley Black & Decker)’, 미국의 ‘이클랜드(Eklind)’와 ‘본더스(Bondhus)’ 등 약 16만5천㎡(5만 평)의 전시장에 기라성 같은 글로벌 리딩 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가득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를 필두로 25개 사가 참가한다.

국제 하드웨어 전시회 아이젠바렌메쎄 개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사진=쾰른메쎄 한국대표부 라인메쎄 제공

주목해야 하는 트렌드, ‘다기능·편리성·IoT’
한 가지 제품으로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올라운더 공구’가 국내에서 인기다.

아이젠바렌메쎄는 자재의 특성에 맞추어 디자인과 용도를 손쉽게 바꿀 수 있는 멀티 옵션 수공구에 주목한다. 1,300여 개 기업이 다기능 만능 펜치, 다목적 사다리, 건습식 겸용 드릴, 플라이어, 니퍼, 망치, 수동 톱, 고전압 절연 공구, 마킹툴, 렌치, 와이어브러쉬 등 활용도가 높은 필수 공구를 전부 선보인다.

IoT와 AI가 이끄는 차세대 산업혁명 시대에 하드웨어 업계도 전환기를 맞았다.
디지털 수평계와 정밀 각도기, 와이파이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이 기능을 탑재한 공기 압축기,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 도어 실린더 등 다양한 스마트 공구를 한 곳에서 만나볼 수 있다.

태양광 케이블 커넥터부터 재생 에너지 공급체인 설비, 광전지 장착 시스템까지 다루는 아이젠바렌메쎄의 ‘올인원 솔루션’은 하드웨어 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기술혁신의 현주소를 살펴본다. 해당 주제는 전 세계 유수의 기업인과 관련 연구소, 각 부문 전문가가 모이는 컨퍼런스(Eisen Forum)에서 깊이 있게 다뤄질 것으로 기대된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CHINAPLAS 2025, 글로벌 바이어 이끄는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혁신 플랫폼

CHINAPLAS 2025가 내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선전의 세계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차이나플라스는 중국의 경제 전략인 ‘이중 순환’을 반영해 내수와 국제 교역을 아우르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목표를 내세웠다. 세계

올해 3분기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6%↑

올해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및 소비자 제품 수요가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 가운데, 자동차 및 산업용 웨이퍼 수요는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SEMI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모바일PC 시장용 OLED 2031년까지 연평균 37% 성장 전망

옴디아(Omdia)의 디스플레이 장기 수요 예측 트래커에 따르면 모바일 PC의 OLED 디스플레이 수요는 2023년부터 2031년까지 연평균 37%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많은 기업들이 프리미엄 노트북과 태블릿에 OLED 패널을 점점 더 많이 적용하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다. 2022년과 2023년

[국제동향] 제조업의 미래 '스마트 팩토리로 디지털 전환'

지난 한 주간 제조업 분야에서는 디지털 전환의 일환으로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해외 매체들은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대한 내용을 앞다투어 보도했다. 미국의 제조 기업인 GE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통해 생산성을 20% 향상 시켰다고 발표했다. GE는 자사의 항공

올해 OLED 소재 시장 성장 재개, 20억 달러 초과 예상

OLED 소재 시장은 2021년까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OLED 확장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2년에는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시장 조사 기관 옴디아(Omdi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소재 시장이 최근 몇 년간의 침체기를 벗어나 성장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