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올해 전 세계 AI 반도체 매출 33% 성장 전망

역대 최고치 갱신… 매년 두 자릿수 성장 예상

올해 전 세계 AI 반도체 매출 33% 성장 전망 - 산업종합저널 전자
COPILOT 생성 이미지

올해 전 세계 AI 반도체 매출이 전년 대비 33% 증가한 총 71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가트너(Gartner)는 올해 AI PC 출하량이 전체 PC 출하량의 22%에 달하고, 2026년 말에는 기업용 PC 구매의 100%가 AI PC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AI PC는 신경망처리장치(NPU)를 탑재해 보다 더 오래 운용할 수 있고, 조용하다. 과열이 적고, 백그라운드에서 AI 작업을 지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 일상 활동에서도 AI를 활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앨런 프리스틀리(Alan Priestley) 가트너 VP 애널리스트는 '생성형 AI는 데이터센터용 고성능 AI 칩 수요를 촉발시키고 있다'라며, '서버 내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데이터 처리 부하를 낮추는 AI 가속기의 가치는 올해 총 210억 달러에 이를 것이고, 2년새 330억 달러로 증가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AI 반도체 매출은 예측 기간 동안 매년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으며, 올해는 해당 기간 중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점쳤다.

가트너는 올해 컴퓨터 전자제품 부문 내 AI 칩 매출은 총 334억 달러로, 전체 AI 반도체 매출의 47%를 차지하며 전자 장비 부문 내 최고 점유율 기록할 것이라 전망했다. 또한, 올해 자동차 전장 부문의 AI 칩 매출은 71억 달러, 소비자 가전 부문은 1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반도체 공급업체와 테크 기업 간의 치열한 경쟁도 벌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새로운 AI 워크로드에서의 고성능 그래픽 처리 장치(GPU) 사용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만, 주요 하이퍼스케일러인 아마존웹서비스(AWS), 구글(Google), 메타(Meta),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는 모두 AI에 최적화된 자체 칩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칩 개발에는 많은 비용이 들지만 맞춤 설계된 칩을 사용 시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AI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가트너는 사용자 또한 새로운 AI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프리스틀리 VP 애널리스트는 '시장의 관심이 AI 개발에서 배포로 전환하면서 현재의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CHINAPLAS 2025, 글로벌 바이어 이끄는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혁신 플랫폼

CHINAPLAS 2025가 내년 4월 15일부터 18일까지 중국 선전의 세계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다. 차이나플라스는 중국의 경제 전략인 ‘이중 순환’을 반영해 내수와 국제 교역을 아우르는 중요한 플랫폼이다. 글로벌 시장에서 중국 플라스틱·고무 산업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목표를 내세웠다. 세계

올해 3분기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6%↑

올해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5.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AI 및 소비자 제품 수요가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 가운데, 자동차 및 산업용 웨이퍼 수요는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SEMI가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전 세계 실리콘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1분기 전년 대비 2.2% 증가

올해 1분기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첨단 공정 수요는 꾸준히 유지되고 있지만, 전 분기 대비로는 계절적 요인과 재고 조정 영향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반도체 공급망 전문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실리콘 웨

올해 OLED 소재 시장 성장 재개, 20억 달러 초과 예상

OLED 소재 시장은 2021년까지 디스플레이 시장에서의 OLED 확장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으나, 2022년에는 처음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시장 조사 기관 옴디아(Omdi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OLED 소재 시장이 최근 몇 년간의 침체기를 벗어나 성장을 재개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

美 신정부 규제 변화…바이오산업 주요 이슈

국내 바이오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 기회를 찾기 위해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JPMHC)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와 KOTRA가 한국 기업들의 성과와 바이오산업의 주요 흐름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바이오제약 업계의 최신 동향과 함께 AI 기반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