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메타버스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핵심 6개 표준문서 주도적 개발...플랫폼 연동 기반 마련

메타버스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 산업종합저널 전기
ETRI 강신각 책임연구원이 ETRI가 주도적으로 개발한 메타버스 핵심 표준문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국내 연구진이 참여해 주도해 온 국제연합(UN) 산하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메타버스 포커스그룹(Focus Group) 활동이 총 52건의 사전국제표준 승인이라는 성과를 내고 성공적으로 종료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7차 메타버스 포커스그룹(FG-MV) 회의에서 의장인 ETRI 강신각 박사 주재로 21건의 사전표준문서(Deliverable)를 승인, 향후 메타버스 시장에서 큰 교두보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ETRI는 지난 1년 6개월에 걸친 메타버스 포커스그룹 의장 활동을 통해 총 52건의 사전표준문서가 최종 승인되는 결과를 도출했다. 이는 다른 포커스그룹 활동과 비교해 볼 때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성과이다. ITU는 매우 짧은 FG-MV 활동 기간을 고려해 더욱 놀라운 성과로 평가했다.

ETRI는 ▲메타버스 개요 ▲플랫폼 상호운용성 ▲디지털트윈 기반 가상-현실 세계 통합 등에 관한 6개의 표준문서를 주도적으로 개발했다. 아울러 ▲메타버스 정의 및 용어집 ▲플랫폼 간 사물 식별정보 상호운용성 ▲신뢰할 수 있는 메타버스 등 4개의 표준문서를 국내・외 기관과 공동으로 개발하는 등 총 10건의 표준문서를 개발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국의 기술이 미래 메타버스 시장을 선점하는 데 크게 미칠 영향과 향후 우리 연구진의 역할이 기대된다. 특별히 전 세계 메타버스 산업계와 이용자의 최대 관심사인 플랫폼 및 서비스의 상호운용성 기반을 세계 최초로 마련했다는 점에서 미래 메타버스 산업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ITU는 FG-MV의 제안을 바탕으로 지난달 14일 제네바에서 UN의 18개 기관이 참여하는 제1차 UN 가상 세계의 날(UN Virtual Worlds Day)을 열었다. UN 산하 주요 국제기구 등에서 350명 이상이 참여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해 메타버스를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미래 세상 구현을 추진키로 했다.

메타버스 포커스그룹(FG-MV)은 한국(ETRI)이 주도적으로 제안해 지난 2022년 12월 ITU-T 전기통신자문그룹(TSAG) 회의에서 참여한 국가 대표 및 산업체 회원 기관의 만장일치로 설립됐다. ETRI 강신각 박사가 의장으로 단독으로 추천돼 선출된 바 있다.

전 세계 주요 지역 간 균형을 고려해 정부, 산업계, 학계, 국제기구 등에서 11명의 전문가가 부의장으로 선임됐다. 기술 분야별로 총 9개의 작업반(WG, Working Group)과 주요 세부 주제에 대한 20개의 타스크그룹(TG, Task Group)이 구성, 운영됐다. 이렇듯 FG-MV에는 500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해 메타버스에 대한 사전 표준화 연구활동을 수행했다.

메타버스 국제표준 주도권 확보 - 산업종합저널 전기
ETRI 강신각 책임연구원이 ITU-T 표준총국 부국장(오른쪽)으로 부터 FG-MV 의장 활동에 대한 감사 및 인증서를 받고 있는 모습

FG-MV는 사우디아라비아, 중국, 멕시코, 스위스에서 전체 회의를 총 7회 개최했고, 총 155회의 전문가 회의에서 1천156건의 기고서 검토를 통해 60여 개 표준개발 과제에 대한 표준문서 개발 작업을 수행했다.

FG-MV 활동과 연계, 메타버스에 대한 이용자 및 전문가의 참여와 표준화 활동 촉진을 위해 ITU 메타버스 포럼도 총 5회 열렸다. 온라인 방송 플랫폼에 1만 7천 명 이상이 참여하는 사상 최대의 기록을 세우는 등 여러 가지 지표에서 기록을 경신하면서 획기적인 성과를 창출해 활동 기간 내내 많은 주목을 받았다.

ETRI 방승찬 원장은 “메타버스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을 크게 진보시켜 이용자 및 산업과 사회 전반에 큰 변혁을 가져올 미래의 플랫폼 및 서비스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고 말했다.

ETRI는 연구진 주도로 ITU의 메타버스 국제표준화 연구 활동을 한 것은 미래 기술에 대한 영향력 확대 관점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으며, 연구원 기관운영계획의 목표 중 하나인 ‘세계적 연구기관 도약 및 국제선도’와도 부합한다고 밝혔다. 또한, 의장국으로서 우리나라가 관련 국제표준화 활동을 주도하면서 메타버스 표준화에 대한 대한민국의 영향력이 크게 제고된 것으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디지털콘텐츠과 이병진 과장도 “메타버스는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지원중인 디지털혁신기술의 하나로서 이번 메타버스 포커스그룹의 활동은 메타버스의 기술적 측면 뿐만 아니라 정책적 측면에서 중요한 안전성, 접근성, 포용성, 지속가능성 그리고 규제 및 경쟁 이슈까지 폭넓게 다루어 더욱 의미가 크다”고 설명했다.

FG-MV의 성과는 오는 10월 개최되는 ITU-T 세계표준총회(WTSA-2024)를 거쳐 차기 연구회기(2025~2028)에 주요 연구반(Study Group)에서 본격 추진될 메타버스 표준개발 활동의 기반으로 활용된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생성형 AI, 국내 기업·공공기관 변화 이끌다… 한국IDC 보고서 공개

IT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Ltd., 이하 한국IDC)는 최근 발표한 ‘국내 생성형 AI 업무 적용 사례 연구(Generative AI Use Cases: Adoption and Priorities in Korea)’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직의 생성형 AI 도

삼성전자, 글로벌 반도체 시장 1위 탈환…AI 반도체·메모리 시장 성장세

가트너(Gartner)는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전년 대비 18.1% 성장해 6천260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2025년 반도체 매출은 7천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조지 브로클허스트 가트너 부사장은 “데이터센터용 GPU 및

수출 확대와 구조 전환으로 돌파구 찾는 철강산업, 2025년 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

한국철강협회(회장 장인화)는 지난달 31일 포스코타워 역삼에서 '2025 철강산업 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세미나는 철강산업의 구조 전환과 글로벌 경기 둔화 속에서 수출 확대와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철강산업의 새로운 기회 모색 한국철강협회 홍정의 본부장은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