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인텔, 파운드리 제조 및 공급망 책임자로 나가 찬드라세카란 선임

인텔, 파운드리 제조 및 공급망 책임자로 나가 찬드라세카란 선임 - 산업종합저널 동향
신임 나가 찬드라세카란 인텔 파운드리 제조 및 공급망 부문 최고 글로벌 운영 책임자(좌), 케이반 에스파르자니(우)

인텔은 나가 찬드라세카란 박사를 인텔 파운드리 제조 및 공급망 부문 최고 글로벌 운영 책임자(COO), 수석 부사장으로 선임한다고 발표했다.

찬드라세카란은 마이크론에서 기술 개발 부문 수석 부사장을 역임한 후 인텔에 합류하며, 인텔 경영진에 소속돼 팻 겔싱어 CEO에게 직속 보고할 예정이다.

그는 30년 가까이 인텔에 헌신한 후 은퇴하기로 결정한 케이반 에스파르자니의 후임이 된다. 에스파르자니 수석 부사장은 탁월한 경력을 바탕으로 인텔 파운드리의 강력한 기반을 구축했으며 글로벌 공급망 탄력성 및 제조 우수성 분야에서 리더십을 발휘해 인텔의 비즈니스가 장기적인 성공을 거두는 데 기여했다. 그는 원활한 업무 전환을 위해 연말까지 인텔에 남아 있을 예정이다.

8월 12일 자로 인텔에 합류하는 찬드라세카란 수석 부사장은 팹 제조, 조립 및 테스트, 인텔 파운드리 전략 기획, 기업 품질 보증 및 공급망을 포함한 인텔 파운드리의 전 세계 제조 운영을 책임지게 된다.

팻 겔싱어 CEO는 나가 찬드라세카란 수석 부사장은 반도체 제조 및 기술 개발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갖춘 뛰어난 경영진으로서 인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인텔이 전 세계적으로 탄력적인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하고 AI 시대를 위한 세계 최초의 시스템 파운드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나가의 리더십은 우리의 발전을 가속화하고 미래의 중요한 장기 성장 기회를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찬드라세카란 수석 부사장은 마이크론에서 20년 이상 근무하며 다양한 고위직을 역임했다. 최근에는 최신 메모리 기술의 확장, 첨단 패키징 기술, 그리고 신규 기술 설루션과 관련된 마이크론의 글로벌 기술 개발 및 엔지니어링을 주도했다. 그 이전에는 마이크론의 공정 R&D 및 운영 부문 수석 부사장을 역임했으며, 공정 및 장비 개발, 디바이스 및 마스크 기술 등 반도체 제조 및 R&D 전반에 걸쳐 폭넓은 경험을 쌓았다.

그는 마드라스 대학교에서 기계공학 학사 학위를,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에서 기계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정보 및 데이터 석사 학위를, UCLA와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서 MBA를 취득했다.

인텔 파운드리 사업은 인텔의 기술 개발, 글로벌 제조, 파운드리 고객 서비스 및 생태계 운영을 아우른다. 이는 팹리스 고객이 AI 주도 컴퓨팅의 새로운 시대를 위해 칩을 설계하고 제조하는 데 필요한 모든 주요 요소들을 결합한 것이다.

찬드라세카란 수석 부사장은 인텔 기술 개발 총괄인 앤 켈러허 수석 부사장, 인텔 파운드리 서비스 총괄인 케빈 오버클리 수석 부사장, 인텔 파운드리 최고 재무 책임자(CFO)인 로렌조 플로레스 등 다른 인텔 파운드리 리더들과 긴밀히 협력해 각자의 파운드리 비즈니스 및 기술 리더십 경험을 바탕으로 인텔이 AI 시대의 첫 번째 시스템 파운드리를 만들어 내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허은철 기자 기자 프로필
허은철 기자
echheo@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수력원자력에 세계 최초 MMIS 원전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DX 보안 및 임베디드 가상화 전문 기업 쿤텍이 임베디드 가상화 설루션인 ‘패스트 브이 랩스(FastVLabs)’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수산ENS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수력원자력에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 계통 제어기(PLC) 디지털 트윈 구축을 지원한 것이다. 이번 협력으로 한수원에

피아이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서 AI 기반 제조 혁신 솔루션 공개

AI(인공지능) 기반 제조 지능화 통합 솔루션 기업 피아이이가 지난 12~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에서 첨단 제조 공정 혁신을 위한 AI 솔루션을 발표했다. 피아이이는 글로벌 제조 기업들의 공정 첨단화를 지원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AI 비전 검사 △

전력 반도체 패키징 전환 가속… 코스텍시스, 와이어 본딩 없는 기술 개발

전력 반도체 패키징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 와이어 본딩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딩 와이어를 제거한 새로운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코스텍시스가 이를 구현한 ‘칩 스페이서’와 ‘비아 스페이서’를 개발했다. 전력 반도체는 전기자동차, 철도, 풍력, 데이터 센터 등 다양한 전

유진로봇, AW 2025에서 고중량 물류 로봇 ‘고카트 1500’ 공개

유진로봇이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최대 1.5t 적재가 가능한 고중량 물류 로봇 ‘고카트 1500’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스마트팩토리와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자율주행 로봇과 로보타이제이션 기술을 강조하며, 효율적인

장애인 스스로 착용 가능해진 웨어러블 로봇

KAIST 기계공학과와 (주)엔젤로보틱스 연구팀이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 F1'을 24일 공개했다. 휠체어에서 내릴 필요 없이 로봇이 스스로 걸어와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워크온슈트 F1,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 가능한 혁신적 기능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