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한국수력원자력에 세계 최초 MMIS 원전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한국수력원자력에 세계 최초 MMIS 원전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DX 보안 및 임베디드 가상화 전문 기업 쿤텍이 임베디드 가상화 설루션인 ‘패스트 브이 랩스(FastVLabs)’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수산ENS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수력원자력에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 계통 제어기(PLC) 디지털 트윈 구축을 지원한 것이다. 이번 협력으로 한수원에 세계 최초로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전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했다. 이는 독자적인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 중 최고 단계인 Level 4를 기반으로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원전 분야에 하드웨어 가상화 기반의 디지털 트윈을 적용해 실제 원전 계측 제어 시스템(MMIS)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지 않고도 활용할 수 있으며, 디지털 트윈이 원전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의 충실도를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MMIS는 원자력 발전소의 두뇌와 신경망에 해당하는 기술의 집약체로, 발전소 전체 설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 운전, 감시, 계측 및 안전 등을 제어하는 통합 운전 관리 시스템이다. 이는 한수원의 차세대 한국형 원전인 APR1400에도 적용된 핵심 기술로,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설계, 제작, 시운전 단계에서 성능과 안전성을 철저하게 검증할 수 있게 됐다.

기존 시뮬레이터는 원전 MMIS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탑재하지 않아 제약이 있었지만, Level 4 하드웨어 가상화 기반의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가상 환경에서 설계 단계부터 품질을 개선할 수 있게 됐다. 제작 및 시운전 기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실제 환경과 동일하게 구축된 디지털 환경에서 테스팅을 수행해 사전에 문제를 파악하고 원인을 분석할 수 있어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트윈 기술은 원전 시장뿐 아니라 국방, 항공, 자동차 시장에서도 화두가 되고 있다.

쿤텍 방혁준 대표이사는 “디지털 트윈은 가상 환경에서 시스템에 대한 설계, 검증, 시운전 등 다양한 테스트를 실제와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어 원전과 같이 실제 환경에서의 테스트에 제약이 많은 분야에 적용할 경우 장점이 많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패스트 브이 랩스를 통해 다양한 분야에 디지털 트윈을 공급하고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과 보안성 강화를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수력원자력에 세계 최초 MMIS 원전 디지털 트윈 기술 적용

DX 보안 및 임베디드 가상화 전문 기업 쿤텍이 임베디드 가상화 설루션인 ‘패스트 브이 랩스(FastVLabs)’를 공급했다고 밝혔다. 수산ENS와의 협력을 통해 한국수력원자력에 하드웨어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한 안전 계통 제어기(PLC) 디지털 트윈 구축을 지원한 것이다. 이번 협력으로 한수원에

피아이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서 AI 기반 제조 혁신 솔루션 공개

AI(인공지능) 기반 제조 지능화 통합 솔루션 기업 피아이이가 지난 12~14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에서 첨단 제조 공정 혁신을 위한 AI 솔루션을 발표했다. 피아이이는 글로벌 제조 기업들의 공정 첨단화를 지원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AI 비전 검사 △

전력 반도체 패키징 전환 가속… 코스텍시스, 와이어 본딩 없는 기술 개발

전력 반도체 패키징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기존 와이어 본딩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딩 와이어를 제거한 새로운 기술이 주목받고 있으며, 코스텍시스가 이를 구현한 ‘칩 스페이서’와 ‘비아 스페이서’를 개발했다. 전력 반도체는 전기자동차, 철도, 풍력, 데이터 센터 등 다양한 전

유진로봇, AW 2025에서 고중량 물류 로봇 ‘고카트 1500’ 공개

유진로봇이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AW 2025(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에 참가해 최대 1.5t 적재가 가능한 고중량 물류 로봇 ‘고카트 1500’을 처음으로 선보였다. 스마트팩토리와 산업 자동화 분야에서 자율주행 로봇과 로보타이제이션 기술을 강조하며, 효율적인

장애인 스스로 착용 가능해진 웨어러블 로봇

KAIST 기계공학과와 (주)엔젤로보틱스 연구팀이 하반신 완전마비 장애인을 위한 웨어러블 로봇 '워크온슈트 F1'을 24일 공개했다. 휠체어에서 내릴 필요 없이 로봇이 스스로 걸어와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췄다. 워크온슈트 F1, 타인의 도움 없이 착용 가능한 혁신적 기능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