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폐수 속 유가금속 회수 효율 높인 고분자 흡착제 개발

한정된 자원인 유가금속 재사용으로 지속가능 사회 구현에 기여

폐수 속 유가금속 회수 효율 높인 고분자 흡착제 개발 - 산업종합저널 소재
개발된 흡착제의 유가금속 흡착 성능 및 활용

산업 폐수에 포함된 금, 팔라듐, 백금 등 고가의 유가금속을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고성능 고분자 흡착제가 개발됐다. 이는 유가금속의 재활용을 통해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연구재단은 23일 고려대학교 이정현 교수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최재우 박사 공동 연구팀이 폐수 속 유가금속 회수 효율을 대폭 향상시킨 고분자 흡착제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진행했다.

유가금속은 배터리, 전자제품, 촉매 등 다양한 산업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자원이다. 그러나 이들은 한정된 자원이기 때문에, 사용 후 회수해 재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기존에는 고분자 소재를 활용한 유가금속 흡착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기존 흡착제는 흡착 속도가 느리고 회수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또한, 환원제를 이용한 기존의 회수 방법은 유가금속뿐 아니라 다른 금속도 함께 환원돼 선택적 회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고분자의 물리·화학적 구조를 설계해 강력한 환원력을 가진 하이드라자이드(hydrazide) 기능기를 다량 포함한 별 모양의 고분자 흡착제를 개발했다. 이 흡착제는 양전하를 띠고 있어, 다른 양이온성 금속이온을 흡착하지 않고 유가금속만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흡착된 유가금속을 필터로 쉽게 분리해 흡착제와 금속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성능을 입증했다.

실험 결과, 연구팀은 버려진 전자기기(CPU)와 촉매에서 얻은 유가금속 용출 용액을 활용해 새로운 흡착제를 테스트한 결과, 유가금속을 100%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더불어, 흡착된 유가금속을 탈착한 뒤 흡착제를 재사용할 수 있어 상용화 가능성도 높다.

이정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고분자 흡착제의 구조와 성능 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데 큰 의의가 있다”며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고분자 흡착제를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최재우 박사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유용한 자원을 회수하고,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특히 산업적 활용가치가 높은 희토류와 같은 유가금속을 선택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고효율 회수 소재 개발로 연구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폐기물에서 가치 있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회수하는 기술의 발전을 알리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되며, 유가금속 회수 공정의 실용화 가능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리튬이온전지 성능 높일 희생양극소재 개발

기후 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우려가 커짐에 따라 탄소중립이 중요시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산업에서는 내연기관을 이용한 기존 차량에서 전기자동차로의 빠른 전환을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전기차의 핵심 전원인 리튬이온전지(LIBs)가 부상하고 있다. 현재 상용 리튬이온전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유기 분자·무기 원소, 중심 금속 그리고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고 이온 결정 구조를 가지는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현재 디스플레이 소재로 사용되는 양자점 (Quantum dot) 혹은 유기 발광소재와 비교해 제작 비용이 낮다. 색상 조절도 쉽고,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침탄·집화열처리 기술 통해 제조업 발전과 수출 기여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동서열처리 구문서 대표를 올해 ‘이달의 기능한국인’로 각각 선정했다. 구문서 대표는 침탄과 질화열처리 기술을 보유한 열처리 분야의 최고 전문가다. 동서열처리 구문서 대표는 침탄과 질화열처리 기술로 기계 부품의 경도 강화를 통해 제조업 발전과 수

재활용한 물리적 폴리에스터 신속·정확 감별

전 세계적으로 순환경제, 탄소중립 등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자 섬유패션 업계는 폐PET병을 재활용해 생산하는 재생폴리에스터(Recycled Polyester) 섬유 시장 확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21년 기준 재생폴리에스터 섬유는 전체 폴리에스터 섬유 생산량의 약 14.8%를 차지했으며

신경봉합술 가능한 피부 모사 접착 패치 개발

교통사고나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영유아들이 문틈 등에 끼어 손가락이나 인체 일부가 절단되는 외상성 절단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외상성 절단 환자의 조직 재건을 위해서는 수술을 통해 뼈, 신경, 혈관 등 다양한 조직을 연결하는 봉합술이 요구된다. 절단 조직의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