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현대모비스 이기양 연구원 선정"

"연자성 소재 국산화와 상용화로 전동화 부품 기술력 향상에 기여"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현대모비스 이기양 연구원 선정" - 산업종합저널 소재
세계 최초 니켈 저감형 금속분말 연자성 코어(上)와 국내 최초 페라이트 코어 및 나노결정립리본 연자성 코어(下), 원안은 이기양 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 수상자로 현대모비스㈜ 이기양 책임연구원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 상은 산업현장의 기술 혁신을 독려하고 기술자들의 역할을 조명하기 위해 매달 대기업과 중소·중견기업 엔지니어 각 1명을 선정해 과기정통부 장관상과 상금 500만 원을 수여한다.

이기양 책임연구원은 연자성 소재의 세계적 수준 개발과 상용화를 통해 국내 전동화 소재 및 부품 분야의 기술력을 크게 높였다. 그가 개발한 니켈 저감형 금속분말 연자성 코어는 세계 최초로 양산에 성공했으며, 이는 기존 대비 니켈 함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혁신적 기술로 평가받는다.

또한, 그는 페라이트 코어와 나노결정립리본 연자성 코어의 국산화를 주도하며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니켈 저감형 연자성 소재는 가격 변동이 심한 니켈의 사용을 줄여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했다. 최근에는 니켈을 완전히 배제한 소재 개발에 성공하며 상용화 검증을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원가 경쟁력을 높이고, 국내외 시장에서의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이 연구원은 자동차 부품 소재 개발에 19년간 전념하며, 전동화 차량 부품 국산화와 양산화를 성공적으로 이뤄냈다. 이러한 기술 혁신은 수입 제품에 의존하던 국내 산업 구조를 바꾸며 무역수지 개선에도 기여했다. 그는 나아가 저탄소 소재와 공정 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탄소 배출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이기양 책임연구원은 “전동화 소재와 부품 기술의 세계적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기술 개발을 통해 국내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이끌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수상은 국내 소재 기술 발전의 성과를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사례로,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의 도약에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

유기 분자·무기 원소, 중심 금속 그리고 할로겐 원소로 구성되고 이온 결정 구조를 가지는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체는 현재 디스플레이 소재로 사용되는 양자점 (Quantum dot) 혹은 유기 발광소재와 비교해 제작 비용이 낮다. 색상 조절도 쉽고, 색순도가 뛰어나 차세대 디스플레이

신경봉합술 가능한 피부 모사 접착 패치 개발

교통사고나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영유아들이 문틈 등에 끼어 손가락이나 인체 일부가 절단되는 외상성 절단 사고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외상성 절단 환자의 조직 재건을 위해서는 수술을 통해 뼈, 신경, 혈관 등 다양한 조직을 연결하는 봉합술이 요구된다. 절단 조직의

인공지능으로 복잡한 대사 과정 풀어

미생물 성장의 핵심 대사반응(metabolic reaction)을 규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광복)은 윤성호 교수(건국대학교) 연구팀이 인공지능과 가상세포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영양 조건에서 미생물 성장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대사반응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CCU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만드는 CCU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이효영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가시 광촉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와 메탄올로부터 항공유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디메톡시메탄(Dimethoxymethane)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CCU 기술은 이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