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I 기반 기계진단 기술 겨룬 ‘기계데이터 챌린지’

PHM Korea 2025 연계…산업 현장 데이터로 알고리즘 성능 경쟁

AI 기반 기계진단 기술 겨룬 ‘기계데이터 챌린지’ - 산업종합저널 기계
기계연 류석현 원장(왼쪽에서 일곱 번째)이 KSPHM-KIMM 기계데이터 챌린지 수상팀 및 챌린지 운영위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AI 기술을 활용한 기계 예지진단 기술 경진대회가 산업계의 관심 속에 마무리됐다. 실증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예측 알고리즘 성능을 겨룬 ‘기계데이터 챌린지’에서는 총 61개 팀, 171명이 참가해 기술력을 겨뤘고, 대상은 한국항공대학교 팀에게 돌아갔다.

한국기계연구원은 한국PHM학회와 공동으로 ‘KSPHM-KIMM 기계데이터 챌린지’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는 6월 24일 제주 부영호텔에서 열린 ‘PHM Korea 2025 정기 학술대회’ 특별 세션과 연계돼 본선 심사와 시상식이 진행됐다.

챌린지에는 산업 현장에서 수집된 베어링 진동, 고장 이력, 운전 조건 등의 데이터를 활용해 고장 예지 및 잔여수명 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그 정확도와 창의성을 평가하는 방식이 도입됐다. 단순 분석 기술을 넘어 실제 적용 가능성과 문제 해결 능력까지 함께 검증했다는 점에서 기존 경진대회와 차별화된다.

4월 22일부터 참가 접수를 시작한 이번 대회에는 산학연 소속 61개 팀, 171명이 참여했다. 6월 3일 예선 통과 팀이 발표된 뒤, 본선은 PHM Korea 현장에서 실시간 발표 및 심사로 진행됐다.

최종 심사 결과, 대상은 한국항공대학교 SSbearing 팀(대표 백현진)이 수상했다. 데이터 기반 문제 정의와 알고리즘의 실용성 측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최우수상은 한국공학대학교 AML 팀(대표 이주훈), 우수상은 아주대학교 오토메카닉 팀(대표 소상연), 장려상은 홍익대학교 NBD 팀(대표 문현율)이 각각 수상했다.

챌린지 운영은 아주대학교가 맡았으며, 데이터는 한국기계연구원이 제공했다. 한국기계연구원 DX전략연구단 선경호 데이터플랫폼연구팀장은 “실제 산업 데이터를 활용한 실전형 AI 알고리즘 개발 기회를 제공해 기술 실증과 교류를 동시에 이끌어냈다”고 말했다.

류석현 한국기계연구원 원장은 시상식에서 “AI 기반 예지진단(PHM) 기술은 자율제조의 핵심이며, 그 시작은 신뢰할 수 있는 양질의 데이터에 있다”며 “기계데이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산업 현장에 AI 기술이 실제 적용될 수 있도록 생태계 확산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