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I가 웨이퍼 먹는다"… 실리콘 출하량, 2028년 '역대 최고치' 찍는다

SEMI "올해 5.4% 성장… AI 반도체·HBM 수요가 시장 견인"

AI 반도체와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폭증이 반도체 공급망의 '쌀'인 실리콘 웨이퍼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올해 출하량이 5% 넘게 증가하고, 2028년에는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AI가 웨이퍼 먹는다"… 실리콘 출하량, 2028년 '역대 최고치' 찍는다 - 산업종합저널 동향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 협회 SEMI는 2025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이 전년 대비 5.4% 증가한 128억 2천400만 제곱인치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성장세는 계속 이어져 2028년에는 154억 8천500만 제곱인치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내다봤다.

AI발(發) 수요가 성장의 핵심 동력이다. 에피택셜(Epitaxial) 웨이퍼 기반의 첨단 로직 반도체(AI 칩)와 HBM 수요가 급증하면서 관련 웨이퍼 출하가 크게 늘고 있다. SEMI는 “데이터센터와 엣지 컴퓨팅을 중심으로 한 AI 인프라 확충이 실리콘 웨이퍼 수요를 지속적으로 끌어올릴 것”이라며 “이 성장 흐름이 2028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비(非) AI 응용 분야 역시 경기 하강 국면에서 점차 회복세를 보이는 점도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실리콘 웨이퍼는 반도체 제조의 기초 소재로, 컴퓨터·통신기기·소비가전 등 거의 모든 전자제품 생산에 필수적이다.

한편, 해당 전망은 SEMI 내 실리콘 제조 그룹(Silicon Manufacturing Group, SMG)에서 집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