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I 병목, 메모리·인프라로 풀겠다"… SK 최태원, 'AI G3' 비전 선언

'SK AI 서밋 2025' 개막… SKT, 1GW급 울산 AI DC 확장·'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로드맵 공개

"AI 수요와 성장 속도는 폭발적입니다. 공급이 병목이 되는 시대에 들었습니다. 고객과 파트너와 함께 '가장 효율적인 AI 솔루션'을 만들고, 책임지고 메모리를 공급하는 것이 SK의 역할입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AI 시대의 '병목 현상'을 메모리 반도체, AI 인프라, AI 활용 솔루션으로 풀겠다며 '고객과의 동반 성장'을 선언했다. SK텔레콤 역시 1GW(기가와트) 이상 규모의 AI 데이터센터(DC) 확장 로드맵을 공개하며, 대한민국 'AI 3대 강국(G3)' 도약을 이끌겠다고 밝혔다.

AI 산업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SK AI 서밋 2025'가 'AI Now & Next'를 주제로 지난 3일 서울 강남 코엑스에서 막을 올렸다.

"AI 병목, 메모리·인프라로 풀겠다"… SK 최태원, 'AI G3' 비전 선언 - 산업종합저널 동향

최태원 회장 "AI, 스킬 경쟁 아닌 효율 경쟁"
최태원 회장은 기조연설에서 AI 산업의 핵심 변수로 '데이터센터 투자 급증'을 꼽았다. 올해 세계 데이터센터 투자액이 6천억 달러(약 800조 원)에 달하는 등 컴퓨팅 수요가 폭발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기업 AI 도입과 에이전트 확산, 국가 간 소버린 AI 경쟁이 이를 가속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 회장은 AI 병목 해소 3대 축으로 메모리, 인프라, AI 활용을 제시하며 "AI는 스킬 경쟁이 아니라 효율 경쟁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AI 칩 성능은 향상되지만 메모리 공급은 부족하다고 진단했다. OpenAI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가 월 90만 장의 HBM을 요청한 것을 예로 들며 "고객에게 책임지고 메모리를 공급하는 것이 SK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청주 M15X 팹과 2027년 가동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AI 메모리 공급을 확대한다. 최 회장은 "용인클러스터 4개 팹이 완성되면 청주 M15X 24개 규모의 생산 능력이 확보된다"고 밝혔다.

SK는 반도체부터 전력·에너지 솔루션까지 직접 연결하는 AI 인프라 구축도 추진한다. 최 회장은 "가장 효율적인 AI 인프라 구조를 찾기 위해 데이터센터를 직접 설계·운영하고 있다"며 SK텔레콤과 과기정통부의 ‘해인(Haein)’ 클러스터, AWS와의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OpenAI와의 ‘서남권 AI 데이터센터’를 사례로 들었다.

아마존 앤디 제시 CEO는 영상 메시지를 통해 “SK는 AWS의 대표적 AI 솔루션 확장 파트너”라고 평가했으며, OpenAI 샘 올트먼 CEO도 “SK와 같은 파트너십이 AI 인프라 확장에 필수적”이라고 언급했다.

"AI 병목, 메모리·인프라로 풀겠다"… SK 최태원, 'AI G3' 비전 선언 - 산업종합저널 동향

SKT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
같은 날 정재헌 SK텔레콤 CEO는 'AI Infra의 Now & Next' 전략을 발표하며 국가대표 AI 사업자로서의 비전을 밝혔다. 핵심은 ▲울산 AI DC 1GW 이상 확장 ▲베트남 등 동남아 시장 진출 ▲AWS·엔비디아와 글로벌 협력 강화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AI DC 종합 사업자 도약이다.

울산 AI DC는 제2, 제3의 모델로 확장돼 수도권·경남·서남권을 잇는 AI 인프라 거점으로 구축된다. 정 CEO는 "한국을 아시아 AI 허브로 키우겠다"고 강조했다. SK그룹은 최근 OpenAI와 서남권 AI DC 설립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정 CEO는 “AI 서비스 확대에 따라 통신사의 네트워크 인프라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며 ‘에지 AI(Edge AI)’와 ‘AI-RAN(지능형 기지국)’을 통신사만의 차별점으로 꼽았다. SKT는 AWS와 에지 AI R&D를, 엔비디아와는 AI-RAN 실증 협력을 진행 중이다.

"AI 병목, 메모리·인프라로 풀겠다"… SK 최태원, 'AI G3' 비전 선언 - 산업종합저널 동향

또한 엔비디아로부터 RTX PRO 6000 GPU 2천여 장을 도입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 디지털 트윈과 로봇 AI를 결합한 제조 혁신 플랫폼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정 CEO는 "AI DC 설계부터 운영까지 총괄하는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해, AI DC 솔루션 패키지를 제품화할 것"이라며 "정부와 협력해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허은철 기자 기자 프로필
허은철 기자
echheo@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