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LS전선, 전선업계 최초 고내화 케이블, 골든타임 연장

케이블 타들어 가는 것을 막는 난연 튜브 제품 주목, 화재 시 2배 이상 견뎌

LS전선, 전선업계 최초 고내화 케이블, 골든타임 연장 - 산업종합저널 전기

소방법 안전기준 강화와 공공 아파트 무독성 제품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LS전선(대표 명노현)은 국내 전선 업계 최초로 국가 재난안전제품 인증을 받았다고 1일 밝혔다.

인증 제품은 화재 발생 시 불에 오래 견디고 연기와 유독가스도 적게 나오는 제품들이다.

불이 나면 비상등과 화재 경보기, 스프링클러, 환기장치, 대피시설 등이 오래 작동되는 것이 중요하다. LS전선의 고내화 케이블은 일반 시판 케이블(750°C, 90분)보다 높은 950°C에서 180분간 불에 견디며 제 기능을 발휘한다. 골든타임이 2배 이상 늘어나는 셈이다.

또, 연기와 유독가스가 적게 발생해야 짧은 시간에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고 인명 피해도 줄일 수 있다. LS전선의 무독성 케이블은 친환경 소재를 사용, 화재시 연기가 적게 나서 가시거리가 2배로 늘어나고, 일산화탄소와 염화수소의 배출량을 90% 이상 줄일 수 있다게 LG전선 측의 얘기다.

그러나 여전히 공공 아파트는 무독성 케이블을 사용하고 있지 않는데 다 국내 소방법의 케이블 내화 기준도 해외에 비해 현저히 낮은 편이다.

명노현 LS전선 대표는 “국민 안전을 위해 공공 부분이 앞장서 안전 제품들을 도입해야 한다”며 “기업의 제품 개발 노력과 함께 소방법 등 관계 법령의 개정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미 설치된 케이블에 간단히 덧씌워 케이블이 타들어 가는 것을 막는 난연 튜브 제품도 주목된다. 재래시장과 아파트, 공장 등에서 주로 발화점이 되는 분전반 등을 중심으로 제품 사용이 확산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재난안전제품인증은 행정안전부가 국민 안전과 밀접한 제품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2018년 도입한 제도로 LS전선의 제품 3종을 포함, 지금까지 총 11개의 제품이 선정되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SEER, AI 기반 무인지게차 기술 도입… 물류 자동화 효율성 강화

SEER Robotics(이하 SEER)가 AI 기술을 적용한 무인지게차를 선보이며, 공장 및 창고 내 물류 자동화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을 도입했다. 무인지게차는 팔레트의 배치나 형태가 일정하지 않은 복잡한 환경에서 운용되며, 손상된 표면, 랩 필름으로 감싸진 팔레트, 비정형 팔레트 등 다양한 조건에서

하이엠솔루텍, ‘LG베스트케어 칠러 무급유 터보’ 출시…유지보수 시장 확대

LG전자 냉난방공조(HVAC) 설비 유지보수 전문기업 하이엠솔루텍이 ‘LG무급유 칠러’ 유지보수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신규 서비스를 도입했다. 하이엠솔루텍은 LG전자의 종합서비스 브랜드인 LG베스트케어와 연계해 유지보수 상품을 운영하고 있으며, 새롭게 ‘LG베스트케어 칠러 무급유 터보’ 서비

AI 시대, TI가 전력 효율 ‘게임 체인저’ 자처… 엔비디아와 ‘800VDC’ 표준 제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폭발적인 연산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텍사스 인스트루먼트(TI)가 엔비디아 등 주요 기업들과 손잡고 800VDC(직류) 전력 아키텍처라는 차세대 표준을 제시하며 전력 관리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나섰다. TI는 14일, 캘리포니아 새너제이에서 열린 오픈 컴퓨트 서밋(OCP)

보쉬 전동공구, PRO SDS 바닥 스크래퍼 4종 출시

보쉬 전동공구 사업부가 타일 및 바닥재 제거 작업을 위한 ‘PRO SDS 바닥 스크래퍼’ 4종을 출시했다. 새롭게 선보인 제품은 SDS 맥스(max) 전용 모델(152mm x 2mm)과 SDS 플러스(plus) 전용 모델(130mm x 1mm)로 구성됐다. 얇고 넓은 절단 날을 적용해 빠른 작업과 높은 자재 제거율을 제공한다.

레인보우로보틱스, 진화한 이동형 양팔로봇 ‘RB-Y1’ 신기술 공개

이동형 로봇 플랫폼 기술의 진화를 이끄는 레인보우로보틱스가 ‘RB-Y1’에 적용된 신기술을 세계 최대 로보틱스 학회에서 공개하며 기술 선도 기업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로봇 전문기업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최근 미국 애틀랜타에서 열린 ‘ICRA 2025(국제 로봇 및 자동화 학회)’를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