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카드뉴스] 하반기 기계업계, 정상화는 아직 멀었다

실물경제 반영하는 일본 공작기계 수주, 18개월 연속 ‘마이너스’

[카드뉴스] 하반기 기계업계, 정상화는 아직 멀었다 - 산업종합저널 기계
[카드뉴스] 하반기 기계업계, 정상화는 아직 멀었다 - 산업종합저널 기계
[카드뉴스] 하반기 기계업계, 정상화는 아직 멀었다 - 산업종합저널 기계
[카드뉴스] 하반기 기계업계, 정상화는 아직 멀었다 - 산업종합저널 기계
[카드뉴스] 하반기 기계업계, 정상화는 아직 멀었다 - 산업종합저널 기계
[카드뉴스] 하반기 기계업계, 정상화는 아직 멀었다 - 산업종합저널 기계








제조업을 굳건히 지켜온 기계산업 역시 코로나 19의 광풍을 피해갈 수는 없었습니다. 특히, 실물경제를 반영하는 공작기계 분야의 부진은 한동안 이어질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메리츠종금증권의 김현 팀장은 최근 한 세미나에서 “하반기 기계산업계는 불확실성을 확인하고 정상화에 근접하는 것이 최선일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일본 공작기계산업을 예로 든 김 팀장은 ““2020년 3월 말까지 일본 공작기계업계의 해외 수출 증감율은 18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며 “3월 지역별 해외수주기여도 역시 유럽과 중국, 북미 모두 하락세를 보였다”고 말헀습니다.

공작기계는 실물 경기와 동행하는 제조업에 대한 인프라‧투자 산업의 경향이 크다”고 말한 김 팀장은 “코로나19 이후 실물경기 회복과 제조업 사이클의 개선으로 인한 제조업 장비 증설 또는 교체 수요 확인까지는 시차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국내 제조업의 기반을 다져왔던 기계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기계산업계의 중흥이 다시 한 번 이뤄지길 바랍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카드뉴스] 저출산·고령화 위기, AI 기반 생산성 혁신이 해답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노동력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카드 1: 2024년 합계출산율 0.75명, 여전히 세계 최저 수준 2050년 취업자 평균연령 53.7세, OECD 평균(43.8세)보다 10세 높아질 전망 노동력 감소→잠재성장률 하락 위험 이러한 변화에 대

[카드뉴스] AI, 2025년 어디까지 왔나?

카드뉴스 1 AI는 더 이상 실험실의 기술이 아닙니다. 이미 의료, 제조, 교육, 교통 등 실생활 곳곳에 깊숙이 자리 잡았습니다. AI가 내리는 진단, 자율주행차, 맞춤형 교육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카드뉴스 2 생성형 AI의 일상화 텍스트, 이미지, 영상까지 만들어내는 생성형 AI가 콘텐츠 제

[카드뉴스] 기계 산업의 혁신과 미래

카드 1: 기계 산업의 미래, 스마트 제조로 나아가다 "2024년, 기계 산업은 스마트 제조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자동화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줄여 더 효율적이고 정밀한 제조 시스템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카드 2: 디지털 트윈, 기계 산업의 새로운 변화 "디지

[카드뉴스] 올해 IoT의 미래를 바꿀 8가지 키워드

카드뉴스 1 2030년, IoT 연결 장치 400억 대 시대! 2030년까지 전 세계 IoT 기기 수가 400억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집, 자동차, 공장 등 우리 생활 곳곳이 더 촘촘하게 연결됩니다. 카드뉴스 2 2025년, IoT의 핵심 트렌드는? 올해 IoT는 AI, 5G, 엣지 컴퓨팅 등 첨단 기술과 결합해

[카드뉴스] 얼어붙은 소비심리와 위축된 소매시장

카드 1: 소비심리, 3분기 연속 하락 대한상의 조사 결과, 1분기 소매유통업 경기전망지수(RBSI)는 77로 집계됐습니다. 고물가와 고금리, 그리고 경제 불확실성이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습니다. 소비시장의 장기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카드 2: 소비시장 위축시키는 주요 요인 소비심리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