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 올해 한국 경제 활력 회복 이끌 '반도체'

반도체 투자 중국과 대만 제치고 세계 1위 올라설 전망

[뉴스그래픽] 올해 한국 경제 활력 회복 이끌 '반도체' - 산업종합저널 전자

코로나19의 지속적 확산과 화웨이 제재 등 영향에도 불구, 지난 2020년 반도체 수출은 992억 불로 전년비(939억 불) 5.6% 성장했다. 이는 역대 2위 실적 기록이다.

7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반도체 수출은 6개월 연속 플러스, 4개월 연속 두자리수 증가율을 보였다.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 상황에서 반도체 산업은 수출회복세 주도로 한국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담당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모바일向 수요는 부진했으나, 비대면 경제 가속화에 따른 서버·노트북 분야 수요 견조로 선방했다는 분석이다.

모바일向 수요의 경우에도 5G 본격화, 중국 시장 스마트폰 점유율 확보 경쟁 등에 따라 하반기부터는 수요 회복세를 시현했다. 코로나19로 인한 모바일 중심 수요 감소로 공급초과 상태가 지속됐으나 하반기 수요 회복으로 수급상황은 점차 개선되는 추세다.

비대면 경제 확산으로 서버·PC용 수요 호조, 코로나19 영향으로 상반기 부진했던 모바일 수요도 하반기에는 회복세를 시현했다. D램은 CIS로의 라인 전환과 미세공정 전환 집중으로 제한적 증가, 낸드는 점유율 확대를 위한 Capa 증설을 지속하고 있다.
         
D램·낸드 고정가격은 모두 상반기 상승 추세를 시현해 2분기말 고점을 찍은 후 하반기 하락세로 전환했다.

시스템반도체 수출이 303억 불로 역대 최대치 기록(2018년 265억 불 상회), 연간 기준으로 철강·석유제품을 넘어서 5위(작년 7위) 수출품목으로 도약했다. 비대면 경제 활성화에 따른 파운드리 위탁수요 확대, 5G 통신칩·이미지센서 등 제품 수요 증가가 수출 호조의 주요 요인으로 분석된다.

2021년 시황 및 수출 전망
올해 세계경제는 5.0% 내외, 세계교역은 7.2% 성장이 점쳐지고 있다. 주요전망기관은 세계 반도체 시장이 이를 뛰어넘는 보다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1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2020년 대비 약 8~10% 증가, 메모리 시장은 약 13~20% 증가(3개社 평균 8.7%, 15.5% 증가) 가 예상된다.

2021년 반도체 수출은 2020년(992억 불) 대비 10.2% 증가한 1천75~1천110억 불(기준전망 1천93억 불) 전망으로 역대 2번째로 1천억 불 이상 실적을 기록하면서 역대 2위의 수출실적을 1년만에 갱신할 것으로 예측된다.

메모리는 가격상승이 예상되는 D램 중심으로 수출이 대폭 늘면서 12.0% 증가한 703~729억 불(기준전망 716억 불)이 될 것으로 진단했다. 시스템반도체는 5G 통신칩, 이미지센서 등 수요 증가 및 파운드리 대형고객 확보로 7.0% 증가한 318~330억 불(기준전망 324억 불) 전망(2020년 303억 불)이 예상된다.

5G 시장 확대, 비대면 경제 확산 지속 등으로 스마트폰·서버·PC 등 전반적인 전방산업 수요증가로 올해 시황은 개선이 기대된다. 5G 본격화, 中 시장 스마트폰 점유율 경쟁 등으로 스마트폰은 2.4% 성장, 비대면 경제 활성화에 따른 데이터센터 투자 재개, 재택근무 및 원격수업 등 영향으로 서버는 6.0%, PC는 5.8% 성장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D램 가격은 2021년 1분기부터 상승세 전환 후 상승세 지속 낸드 가격은 전반적으로 완만한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점쳤다.

시스템반도체도 ▲수요기업의 자체 칩 개발 및 공정 미세화에 따른 파운드리 위탁 수요 증가 ▲비대면 경제 활성화 및  5G 보급 가속화에 따른 5G 통신칩, 고해상도 이미지 센서,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등 수요 증가로 글로벌 시장이 약 5.5% 성장할 것이라는 시각이다.

▲글로벌 반도체 분야 설비투자는 반도체 시황 개선 기대에 따라 2019년 감소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세가 유지돼 2021년은 전년비 약 4% 증가한 720억 불 기록 전망 ▲우리나라가 2017년~2018년 반도체 슈퍼사이클 이후 2019년에 중국·대만에 빼앗겼던 설비투자 1위 자리를 2년만에 탈환할 것으로 기대 ▲향후 시장에 대한 전망이 자본시장에 반영돼 지난해 12월말 종가 기준 국내 S社 시가총액이 5천1억 불로 TSMC(4천881억 불)를 제치고 5개월만에 글로벌 반도체 시가총액 1위에 재등극 ▲국내 S社는 디램, 낸드 뿐만 아니라 파운드리, 이미지센서 등 반도체 전 라인업의 호조 전망이 자본시장에 반영 ▲국내 H社는 매출에서 인텔·삼성에 이어 세계 3위를 기록중으로 향후 인텔 낸드부문 인수로 인한 컨트롤러 경쟁력 강화 기대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지난해 코로나19 및 화웨이 제재 등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산업이 수출회복세를 주도하면서 우리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담당했다”면서 “올해도 반도체가 수출·투자 등 우리 경제의 활력 회복(Resilience) 및 수출 플러스 전환을 견인하고, 한국형 뉴딜의 성공적 추진과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이끄는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2019년 4월),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 전략'(2020년 10월)을 시의적절하게 발표하고 추진한 결과 지난해 시스템반도체가 303억 불로 역대 최고 수출을 달성하고, 철강·석유제품을 제치고 5대 수출품목으로 등극하는 등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강조한 뒤 “올해도 메모리 超격차 유지, 시스템반도체 자생적 생태계 조성 등을 통해 종합 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8월 수출 부진 지속

8월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와 국제 정세 불안정의 여파로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주요 수출국인 미국, 이탈리아, 튀르키예 등의 시장에서 하락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공작기계 수출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세 8월 공작기계 수주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기업 10곳 중 6곳, 업무 자동화에 생성형 AI 도입

글로벌 기업 10곳 중 6곳은 업무 자동화에 이미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도입했으며,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80%는 올해 기업 성장을 긍정적으로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딜로이트 글로벌과 포춘(Fortune)이 공동으로 진행한 ‘글로벌 CEO 서베이’를

소상공인 대출 상환 부담 경감 위한 금융 지원 3종 세트 본격 가동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3일 관계 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 대책'의 주요 과제인 '금융 지원 3종 세트'의 세부 이행계획을 발표했다. 3종 세트는 소상공인의 대출 상환 부담을 대폭 경감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상환 연장 제도 개편, 전환보증 신설, 대환대출 지원 대상 확대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