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기업 '열에 넷', 수평적 조직 및 유연근무제 도입

‘임금피크제’ 시행, 기계설비(32개사) 6개사, 석유화학(13개사), 운송장비(10개사)

기업 '열에 넷', 수평적 조직 및 유연근무제 도입 - 산업종합저널 정책

기업 가운데 유연근무제나 재택근무, 수평적 조직을 도입한 곳은 얼마나 될까.

이 외에도 임금피크제나 퇴직급여, 교통비 지원 등이 이뤄지고 있는 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시흥상공회의소가 2020년 11월 16일부터 12월 14일 까지 시흥지역 제조업체 106개사를 대상으로 ‘임금인상률’, ‘관리직 초임 연봉 및 현장근로자 초임 시급’, ‘수평적 조직 도입 및 유연근무제 도입’, ‘임금피크제 및 퇴직급여 운영’, ‘교통비 및 자가운전보조금’, ‘식대 및 구내식당 단가’, ‘자녀학자금’, ‘종합 건강검진’, ‘경조사’ 지원 여부를 포함한 ‘2020년 시흥지역 제조업체 경영 기초 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응답업체 106개사 중 ‘수평적 조직’ 도입 업체는 28.6%, ‘유연근무제’ 도입 업체는 15.1%, ‘재택근무’를 시행하는 업체는 5.7%, ‘화상회의 도입’ 업체 중 H/W를 사용하는 업체 6.6%, S/W를 사용하는 업체 12.3%로, 그중 H/W와 S/W를 모두 사용하는 업체는 3개사로 조사됐다.
‘임금피크제’를 시행하는 업체는 12개사(11.3%)로 중기업(100~299명) 9개사 중 5개사, 중기업(50~99명) 18개사 중 4개사 순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기계설비(32개사) 6개사, 석유화학(13개사)과 운송장비(10개사)는 각 2개사 순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하는 나이와 기본금 대비 몇 %를 지급하는지에 대해서는 응답업체 12개사 중 55세 2개사, 56~58세 5개사, 60세 4개사, 65세 1개사로 집계됐다. 또한, 임금의 70% 1개사, 80% 1개사, 90% 6개사, 95% 1개사, 100% 2개사가 시행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퇴직급여’ 운영은 응답업체 106개사 중 확정급여형(DB) 55개사(53.4%), 확정기여형(DC) 34개사(33%)가 시행하는 것으로 집계됐으며, 14개사는 운영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기업규모별로는 확정급여형(DB)을 응답한 55개사 중 소기업(10~29명)이 36개사 중 15개사, 소기업(10명 미만) 20개사와 소기업(30~49명) 21개사 중 각 13개사 순으로 응답했고, 확정기여형(DC)을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한 24개사 중 소기업(10~29명) 36개사 중 12개사, 중기업(50~99명) 18개사 중 10개사 순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확정급여형(DB)을 응답한 55개사 중 기계설비(32개사) 13개사, 석유화학(13개사) 11개사 순으로 운영했고, 확정기여형(DC)을 응답한 34개사 중 기계설비(32개사) 13개사, 석유화학(13개사) 11개사 순으로 응답했다.

‘교통비 및 자가운전보조금’ 지원에 대해 살펴보면, ‘자가운전보조금’을 지급하는 업체는 32개사(30.2%), ‘회사버스이용’은 15개사(14.2%), ‘교통비’는 10개사(9.4%), 지원하지 않는 업체는 49개사(46.2%)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교통비’를 지원하는 업체는 소기업(10~29명) 36개사와 소기업(30~49명) 21개사 중 각 3개사, 소기업(10명 미만) 20개사 중 2개사 순으로 응답했고, ‘자가운전보조금’을 지원하는 업체는 소기업(10~29명) 36개사 중 13개사, 소기업(10명 미만) 8개사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회사버스이용’은 중기업(100~299명) 9개사 중 6개사, 소기업(30~49명) 21개사 중 4개사 순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 ‘교통비’를 지원하는 업체 중 철강금속(17개사) 4개사, ‘자가운전보조금’지원은 기계설비(32개사) 14개사, ‘회사버스이용’은 철강금속(17개사) 4개사가 가장 많이 지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구내식당 운영’ 여부를 살펴보면, 전체 52개사(49.1%)가 운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기업규모별로는 소기업(10~29명) 36개사 중 14개사, 소기업(30~49명) 21개사와 중기업(50~99명) 18개사 중 각 11개사 순으로 운영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기계설비(32개사) 16개사, 석유화학(13개사) 10개사 순으로 운영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식대 제공’ 업체를 살펴보면, 응답업체 54개사 중 ‘매월 고정지급’은 22개사 42.3%, ‘출근일수 계산지급’은 12개사 23.1%, 지급하지 않는 업체는 5개사 9.6%로 집계됐다.

기업규모별로는 ‘매월 고정지급’이 소기업(10~29명) 22개사 중 11개사, 소기업(10명 미만) 13개사 중 7개사 순으로 응답했고, ‘출근일수 계산지급’은 소기업(10~29명) 22개사 중 4개사, 소기업(10명 미만) 13개사 중 3개사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소기업(10~29명) 22개사 중 3개사는 지급하지 않는다고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기계설비(16개사) 7개사, 철강금속(13개사) 6개사 순으로 응답했고, ‘출근일수 계산지급’은 철강금속(13개사), 전기전자(6개사), 기계설비(16개사) 각 3개사씩, 기타(8개사) 2개사 순으로 집계됐다.

구내식당 운영 시 ‘근로자 1인당 식대지급액’은 응답업체 29개사 중 2020년 기준 4,001원~5,000원 14개사(48.3%), 5,001~6,000원 8개사(27.6%) 순으로 집계됐다. 2021년에는 4,001~5,000원 10개사(55.6%), 3,001~4,000원 5개사(27.8%) 순으로 지원한다고 응답했다.

‘자녀학자금 지원’ 여부를 살펴보면, 응답업체 102개사 중 21개사(20.6%)로, 이 중 소기업(10~29개사) 36개사 중 8개사가 가장 많이 응답했다. 고등학생 지원의 경우 응답업체 5개사 중 25만 원(1개사), 30만 원(1개사), 40만 원(1개사), 80만 원(2개사)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지원의 경우 80만 원(1개사), 100만 원(3개사), 200만 원(4개사), 250만 원(1개사), 300만 원(1개사), 400만 원(1개사), 또한 지원 비율은 40% 1개사, 50% 2개사, 100% 1개사로 응답했다. 그리고 대학원생 지원은 없음으로 나타났다.

‘종합건강검진’ 지원 여부를 살펴보면, 응답업체 103개사 중 25개사(24.3%)가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소기업(10~29명) 36개사 중 7개사, 소기업(30~49명) 21개사 중 6개사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종합건강검진 지원 조건(근속연수)’에 대해 응답한 25개사 중 ‘근속연수와 상관없이’ 12개사, ‘전직원 지원’ 5개사로 집계됐다. ‘실시주기’를 응답한 5개사 중 1년 4개사, 2년 1개사 순으로 나타났고, ‘1인 검진지원금’을 응답한 9개사 중 5만 원 1개사, 10만 원 1개사, 15만 원 2개사, 20만 원 3개사, 30만 원 1개사, 70만 원 1개사로 응답했다.

‘경조사’ 지원 여부를 살펴보면, 응답업체 106개사 중 78개사(73.6%)가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소기업(10~29명) 36개사 중 26개사(34%), 소기업(30~49명) 21개사 중 18개사(19.8%) 순으로 지원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기계설비(32개사) 27개사(34.6%), 철강금속(17개사) 14개사(17.9%) 순으로 집계됐다.

‘결혼’은 ‘본인’에 대해 응답한 70개사 중 50만 원 27개사(38.6%), 30만 원 20개사(28.6%), 1백만 원 9개사(12.9%) 순으로 응답했고, ‘자녀’는 응답업체 44개사 중 20만 원과 30만 원이 각 16개사(36.4%), 50만 원 6개사(13.6%)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형제자매’는 응답업체 24개사 중 10만 원 13개사(54.2%), 20만 원 6개사(25%) 순으로 집계됐다.

‘자녀 출산’은 응답업체 35개사 중 10만 원 12개사(34.2%), 30만 원 10개사(28.6%) 순으로 응답했고, ‘자녀 돌’은 응답업체 35개사 중 10만 원과 20만 원이 각 14개사(40%), 30만 원 5개사(14.3%)순으로 응답했다. 

‘회갑’은 ‘본인’에 대해 응답한 26개사 중 20만 원과 30만 원 각 9개사(34.6%), 10만 원 5개사(19.2%)순으로 응답했고, ‘배우자’는 응답한 13개사 중 20만 원 6개사(46.2%), 30만 원 3개사(23.1%)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부모’는 응답업체 18개사 중 20만 원 8개사(44.4%), 30만 원 5개사(27.8%) 순으로 응답했다.

‘칠순’은 ‘본인’에 대해 응답한 25개사 중 30만 원 11개사(44.0%), 10만 원 6개사(24.0%) 순으로 응답했고, ‘배우자’는 응답업체 12개사 중 20만 원 5개사(41.7%), 10만 원과 30만 원이 각 3개사(25.0%)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부모’는 응답업체 16개사 중 20만 원과 30만 원이 각 6개사(37.5%), 10만 원 4개사(25.0%) 순으로 응답했다.

‘부의금’은 ‘본인“에 대해 응답한 55개사 중 30만 원과 50만 원이 각 13개사(23.6%), 20만 원과 100만 원 8개사(14.5%) 순으로 응답했고, ‘배우자’는 34개사가 응답한 가운데 50만 원 15개사(44.1%), 30만 원 8개사(23.5%) 순으로 응답했다. 또한, ‘부모’는 응답업체 36개사 중 30만 원 15개사(41.7%), 50만 원 13개사(36.1%) 순으로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기타 복리후생 지원’ 여부에 대해 살펴보면, 응답업체 106개사 중 ‘보육수당’을 지급하는 업체는 4개사, ‘육아수당’은 2개사, ‘유급병가’는 22개사, ‘작업복,안전화 등 업무상 물품 지급’은 96개사로 집계됐다.

시흥상공회의소는 올해를 기점으로 매년 시흥지역 기업체 경영기초조사를 통해 ‘임금인상률’, ‘관리직과 현장근로자의 초임 연봉 및 시급’을 비롯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경영 정보 제공을 위해 조사 보고서를 제공할 계획이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