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는 674만 9천명으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7만 2천명 증가한 수치로, 처음으로 50대 취업자 수를 넘어섰다. 전체 취업자 중 60세 이상의 비중은 23.4%로, 1982년 6.0%에서 40여 년 만에 4배 이상 증가했다.
한 대학 교수는 "평균 수명 100세 시대에 베이비부머는 80세까지 활동할 수 있다. 이들이 10년 이상 더 일을 할 수 있다면 국민연금 고갈, 경제활동 인구 감소, 부동산 가격 상승까지, 한국 사회가 직면한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고용정보원의 분석에 따르면, 60세 이상 취업자 중 76.4%가 새 일자리에서 일하고 있으며, 기존 직장에서 계속 근무하는 비율은 22.9%에 불과하다. 이는 대다수의 60대 이상 취업자가 퇴직 후 재취업한 것을 의미한다.
또 다른 교수는 "고령인구를 위한 '양질'의 일자리는 적고 모두가 도전할 수 있는 괜찮은 일자리는 청년으로 먼저 채워진다"며 "결국 고령자들은 저임금 일자리로 내몰리는 상황"이라고 지적한다.
고령층 취업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는 인구구조 변화와 함께 자발적·비자발적으로 60세 이후에도 노동시장에 진입하려는 고령층의 증가를 들 수 있다. 특히 연금소득 부족에 따른 경제활동 참가로 65세 이상의 고용률이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사회복지 전문가는 "단순히 공공 부문 일자리를 사회복지 혜택의 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예산 활용으로 보일 수 있다"며 "향후 정책은 시장 지향적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조언한다.
정부는 2027년까지 노인인구의 10% 수준으로 노인일자리 규모를 확충할 계획이다. 또한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해 임금보조금, 고령자 고용률제, 취업알선기관, 직업훈련 프로그램 등을 시행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퇴직자를 위한 양질의 일자리는 국가적 관심사이며 공공 및 민간 부문이 긴밀히 협력하여 고령 시민들이 경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령층의 취업 증가는 개인적으로는 경제적 안정과 사회 참여를 통한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노인일자리 사업의 효과 분석 결과, 탈빈곤, 건강증진, 사회참여로 인한 긍정적 심리 효과 등이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으로는 청년 일자리와의 갈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2024년 4월 고용동향을 보면, 60세 이상 취업자는 29만 2천명 증가한 반면, 청년층 취업자는 8만 9천명 감소했다. 다만, 일부 연구에서는 청년층과 고령층이 대체관계가 아닌 보완관계일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있다.
60대 한국인들의 현실은 개인의 능력과 의지, 그리고 사회 시스템 간의 괴리를 보여준다. 건강하고 일할 의욕이 넘치는 60대가 늘어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는 부족한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60대의 능력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사회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이는 단순히 60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고령화 시대를 맞아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제다. 정부, 기업, 그리고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와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intelligence@industryjournal.co.kr
저작권자(c)산업종합저널.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