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신산업 기업 규제혁신 문화 확산 중

45%, 향후 규제혁신 성과 전망 긍정적

신산업 기업 규제혁신 문화 확산 중 - 산업종합저널 정책
자료=경기연구원

규제혁신 문화가 신산업 기업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들 기업 45%는 향후 규제혁신 성과를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신기술・신산업 분야 기업 100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경기연구원의 '신산업 규제혁신 정책의 성과분석 연구'에 담긴 내용을 보면, 기업들은 지난 3년간 정부의 규제혁신 정책에 대한 만족도와 도움 정도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평균 3.0점 수준인 ‘보통’으로, 체감도는 ‘보통 이하’(평균 2.71점)로 평가했다.

반면, 향후 정부의 규제혁신 정책 성과 전망에서는 ‘긍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하는 기업이 45.0%로, ‘부정적’일 것이라고 전망하는 기업 11.0%보다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규제혁신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57.8%)를 우선으로 꼽았다. 다음으로 ‘규제샌드박스 등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13.3%), ‘부처와 기관간 협력하고 있다’(13.3%) 등의 순이다.

정부 규제혁신 성과분석을 위해 ‘중요도-성과 분석’(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성과요인 11개 항목 중 3개 항목이 중요도는 높지만 성과는 낮아 최우선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 항목은 ‘시민(소비자)들의 편익과 안전 등 수요자 관점에서의 의견수렴’, ‘인터넷 은행법, 데이터3법 등 법 개정 추진’, ‘금융, 의료 등 특정 분야에 대한 규제 가이드라인 마련’이다.

규제샌드박스 제도의 IPA 분석 결과, 성과요인 23개 항목 중 ‘법제도 기반 구축’, ‘행정 절차(신청절차 등)의 간소화・편리성・신속성’, ‘선정평가위원회의 전문성・공정성・투명성’, ‘관련부처와 기관과의 소통’ 등이 최우선 개선과제로 도출됐다.

연구를 수행한 배영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의 규제혁신 정책 방향(포괄적 네거티브 등)에 대해서는 바람직하다고 평가할 수 있으나, 정책의 성과는 아직 미흡한 상황으로 기업의 체감도와 실질적인 경영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과감한 정책 시행과 추진방법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시민들의 의견수렴, ▲신속한 법 개정 추진, ▲특정 분야에 대한 가이드라인 마련 등을 제안했다.

배영임 연구위원은 또한, “규제샌드박스 제도는 가장 핵심적인 규제혁신 정책으로 기업들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아직 시행 초기로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구체적으로 ▲신속한 법 개정, ▲행정 절차 효율화, ▲선정평가위원회 전문성, ▲관련 부처・기관간 소통을 중요한 개선방안으로 꼽았다.

한편, 경기연구원은 규제혁신 정책의 만족도와 체감도를 분석하기 위해 신기술・신산업 분야 기업 100개 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지난 3년간 정부의 규제혁신 정책에 대한 평가, 규제혁신 정책의 성과요인별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해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이때, 정부의 포괄적인 규제혁신 정책과 규제샌드박스 제도에 대한 개선방안도 함께 분석했다.
신수정 기자
sjshi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급증하는 고령층 취업… 일할 의지는 넘치지만 일자리는 부족

대한민국이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면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고 있다.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6%에 달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이에 따라 60대 이상의 일자리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9월 기준, 60세 이상 취업자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