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대한전선, 사우디 초고압케이블 JV 설립 뮤 체결

대한전선, 사우디 초고압케이블 JV 설립 뮤 체결 - 산업종합저널 전기
대한전선 나형균 사장(좌)과 모하메드 알-오자이미 그룹의 살렘 부회장(중앙), CEO 갈렙(우)이 지난 9일 두바이에서 사우디 초고압케이블 JV 설립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대한전선이 해외 생산 거점 확보에 나섰다.

케이블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한전선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초고압케이블 생산을 위한 합작투자 법인(Joint Venture)을 설립하고 신규 공장을 건설한다고 10일 밝혔다. 대한전선이 해외에 짓는 첫 번째 초고압케이블 공장으로, 생산의 현지화를 통해 수주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을 구체화한 것이다.

투자 파트너사는 사우디 송배전 전문 EPC인 모하메드 알-오자이미 그룹(Mohammed Al-Ojaimi Group)으로, 양사는 합작법인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지난 9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 자리에는 대한전선의 나형균 사장과 에너지 해외부문장, 글로벌 마케팅부문장 및 알-오자이미 그룹의 살렘 부회장 등이 참석했으며, 향후 일정 및 투자 방법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도 진행했다.

두 기업은 공장 건설을 위해 사우디 수도 리야드에 위치한 첨단산업단지에 공장부지 약 7만㎡를 확보했다. 파트너사인 알-오자이미 그룹이 보유한 곳으로, 대한전선의 전력기기 생산법인 ‘사우디대한(법인장 김승일)’과 인접해 있어 인프라의 활용 및 투자비 절감, 관리 및 운영 면에서 공장 신축에 가장 적합한 곳이다.

대한전선은 사우디를 시작으로 카타르, 쿠웨이트 등 GCC 전역과 유럽까지 시장을 확대해 380kV급의 초고압케이블을 공급한다는 전략이다. 뿐만 아니라, ‘사우디대한’의 고도화 및 시너지를 통해 전력망 턴키 사업의 직접 수주와 자체 수행도 진행할 계획이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중동은 대한전선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여 온 수주 텃밭으로, 현지 생산화를 통해 주요 공급사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며, “특히 사우디는 고유가 기조 및 비전2030 등 국가 주도의 인프라 사업이 확대되는 만큼 대한전선에 큰 기회”라고 밝혔다.

아울러 “각국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고 물류비가 상승하는 가운데, 수주 및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생산 거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고 확장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대한전선은 충남 당진의 케이블 공장과 전력기기 공장, 베트남에 HV급 케이블 공장, 아프리카 남아공에 MV급 케이블 공장, 사우디에 전력기기 공장 등 5개 생산 기지를 보유하고 있다. 현재 추진 중인 당진 해저케이블 공장과 쿠웨이트 광케이블 공장, 사우디 초고압케이블 공장이 마무리되면 전 세계적으로 8개의 생산 공장 및 법인을 소유하게 된다.

한편 나형균 사장은 이번 MOU 체결 후, 두바이에서 개최되는 중동 최대 규모의 전력 전시회인 ‘MEE(Middle East Electricity) 2022’에 참석해 주요 전력청 및 거래처 관계자와 미팅을 진행했다. 또한, 중동 지역 법인장 및 지사장과 함께 수주 확장을 위한 전략 회의도 개최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올해 기업이 마주할 다섯 가지 위기… 위기관리 핵심은 ‘데이터 활용’

한국IBM은 7일 여의도 본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주목해야 할 트렌드를 제시했다. 또 지난해 성과와 올해 사업 전략을 발표하며 IBM의 사업 모델이 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솔루션 중심으로 변화했다고 밝혔다. 이지은 한국IBM 최고기술책임자(CTO)는 기조연설에서 “단기적인 위

리비아오 로보틱스, 일본 기업에 '3D 분류 시스템 솔류션' 제공

일본은 국토면적이 작어 국민들의 생활 공간이나 생산 공간이 제한적이다. 특히, 물류 산업은 공간에 대한 수요가 높아 물류 기업의 어려움을 겪는 대표적인 사례다. 창고나 장비, 인력, 적재물을 차량에 배차하는 과정까지 공간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일본 물류기업은 그래서 사무실이나 생산 공간을

공정 자동화 시간 줄이는 협업 애플리케이션

복잡한 프로그래밍 과정 없이 현장에서 직접 로봇을 배치, 자동화하는 협업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이 등장했다. 글로벌 협업로봇 기업 온로봇(OnRobot)이 17일 서울 코엑스(COEX)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공정 자동화 플랫폼 ‘D:PLOY'를 소개했다. 엔리코 크로그 이베르센 온로봇 대표는 로봇 산업

250억 원 투자, 평택에 OLED 소재 제조시설 확장 준공

354년 역사의 글로벌 과학기술기업인 독일 머크 그룹의 한국법인인 한국머크㈜(Merck)가 경기도 포승 국가산업단지에 차세대 OLED 승화정제시설 설비 확장을 마쳤다고 9일 밝혔다. 한국 머크는 2020년 10월 경기도와 평택 포승공장에 250억 원을 들여 LCD테스트용 부품공장과 OLED 발광

디지털화 됐다고 디지털 전환? “프로세스 개선까지 이어가야 진정한 디지털 전환"

서비스나우가 디지털 비즈니스 플랫폼인 ‘나우 플랫폼(Now Platform)’의 최신 업데이트 ‘유타 릴리스(Utah release)’를 통해 주요 플랫폼을 확장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이날 서비스나우코리아가 개최한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장기훈 서비스나우코리아 솔루션컨설팅 전무는 “지난 5~6년 간 디지털화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