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탈탄소 정책에 높아지는 탄소장벽… CBAM·GSSA 전망과 과제

“온실가스 배출량 많은 철강 업계 부담 클 것”…장기적 관점 정책 필요

탈탄소 정책에 높아지는 탄소장벽… CBAM·GSSA 전망과 과제 - 산업종합저널 동향


유럽연합(EU)과 미국의 탈탄소 정책으로 탄소 무역장벽이 점차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 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장기적 관점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6일 오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는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이날 ‘글로벌 탄소 무역장벽 현황과 향후 전망’을 주제로 발제한 안정혜 법무법인 율촌의 변호사는 “EU와 미국을 중심으로 탄소 무역장벽 정책이 가속화 하고 있다”라며 “국내 기업들의 불이익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운을 뗐다.

앞서 지난달 15일 EU이사회는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가 약한 국가들에 대해 추가 관세를 매기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입법안을 합의한 바 있다. 관세 적용 품목에는 철강, 시멘트, 알루미늄, 전기 등이 포함돼 있다.

안 변호사는 “특히, 철강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아 CBAM 입법안 논의 당시 더 강력한 감축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표출되기도 한 품목이다"라며 "CBAM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경우 철강 업계에 큰 부담으로 작용될 것으로 우려된다”라고 했다.

때문에 ESG 투자 촉진을 위한 한국만의 K-텍소노미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CBAM 규제 조건에 대한 조정과 탐색 등 장기적 관점의 정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게 안 변호사의 주장이다.

그는 CBAM뿐만 아니라 글로벌지속가능철강협정(GSSA)도 눈 여겨 봐야 한다고 했다.

GSSA는 미국을 중심으로 EU, 영국, 일본이 맺은 협정이다. 중국과 같이 저탄소 정책에 참여하지 않는 국가의 시장접근을 제한하기 위한 국제 공조로, 탄소 집약 문제를 비롯해 과잉 공급에 대한 제재가 포함돼 있다. 현재 한국은 협정국에 들지 않은 상황이다.

안 변호사는 “GSSA는 미국의 중국에 대한 견제 측면이 강한 협정이지만, 이 대로 협정국에 들어가지 못한다면, 향후 한국도 견제 국가에 포함되는 것 아닐까 우려된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도 GSSA 동참을 위한 기준 확보와 철강 과잉 공급을 해결하고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경영성과급도 퇴직금에 포함? 대법원 결정 앞둬... 기업들 대비해야

퇴직금 산정 시 경영성과급 포함 여부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을 앞두고, 한국 기업의 사전 대비와 대응 전략이 중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19일 법무법인 세종과 공동으로 ‘2024년 주목해야 할 노동판결 및 기업 인사노무전략 웨비나(온라인 세미나)’를 개최

생성형 AI, 국내 기업·공공기관 변화 이끌다… 한국IDC 보고서 공개

IT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Ltd., 이하 한국IDC)는 최근 발표한 ‘국내 생성형 AI 업무 적용 사례 연구(Generative AI Use Cases: Adoption and Priorities in Korea)’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직의 생성형 AI 도

올해 글로벌 반도체 제조 산업 ‘회복’ 기대

지난해 4분기 전자 제품과 집적회로(IC) 판매가 증가하면서 글로벌 반도체 제조 산업의 회복이 예상되며, 이러한 추세는 올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SEMI의 반도체 제조 모니터링 보고서(Semiconductor Manufacturing Monitor, SMM)의 최신 자료에 따르면, 2023년 4 분기 전자 제품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반도체·자동차·부품 등 10대 수출 품목, 글로벌 시장 경쟁 '격화'

글로벌 첨단산업 분야에서 한국과 주요국 간의 수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KOTRA(사장 강경성)는 지난 5개년간의 수출입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반도체, 자동차·부품, 선박, 의료·정밀·광학기기 등 첨단산업에서 한국과 일본, 독일,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 간 경쟁이 크게 심화되고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