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지난 해 전 세계 팹 장비 투자액, 약 1천 억 달러 규모

반도체 업계의 지속적인 생산능력 확대

지난 해 전 세계 팹 장비 투자액, 약 1천 억 달러 규모 - 산업종합저널 전자

지난해 전 세계 팹 장비 투자액은 전년 대비 약 9% 증가, 사상 최고치인 990억 달러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첨단 산업 서플라이 체인 협회인 SEMI 최신 팹 전망 보고서(SEMI World Fab Forecast)에 따르면, 전 세계의 반도체 생산 능력은 2021년 7.4% 증가 후 올해는 7.7%에 달하는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2022년에 추가되는 167개의 신규 팹과 생산 라인에 대한 투자액은 전체 2022년 팹 장비 투자액의 84%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에는 129개의 신규 팹과 생산 라인이 추가돼 전체 팹 장비 지출액 중 신규 설비에 투자되는 비율은 79%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지난해와 올해 전체 팹 장비 투자액 중 파운드리 부문은 53%, 메모리는 2022년에는 32%, 2023년에는 33%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SEMI CEO인 아짓 마노차는 발표자료에서 ‘올해 글로벌 팹 장비 투자액이 역대 최대 기록을 달성한 후 내년에도 신규 팹 및 생산 시설 확대로 인해 투자액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했다.

지역별 팹 장비 투자액
대만은 2022년 팹 장비 투자를 주도하는 지역으로 올해의 팹 장비 투자액은 전년대비 47% 증가한 약 300억 달러를 점쳤다. 한국은 5.5% 감소한 222억 달러, 중국은 220억 달러로 작년 고점 대비 11.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 및 중동 지역의 투자액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지만 올해 141% 증가한 66억 달러로 사상 최대 지출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세계 최대 규모 ‘하노버 산업전’ 통합한국관 운영, 29개사 참가

30일(독일 현지시각)부터 다음 달 2일까지 독일 하노버에서 열리는 최대 산업혁신 전시회인 ‘독일 하노버 산업박람회(2022 Hannover Messe)’에서 통합한국관이 운영된다. 2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열리는 이번 전시회에서 한국 중소·중견기업들은 혁신 기술을 선보인다. KOTRA는 한국기계산업진흥

[산업View]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민관 TF, 새로운 통상 의제 논의

지난해 10월 말,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발표한 새로운 경제 협력구상체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 워크(IPEF)’에 대한 민관 TF의 회의가 29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 EC룸에서 개최했다. IPEF는 디지털, 공급망, 청정에너지 등 실물경제의 새로운 통상의제에 대해 역내 포괄적 경제협력을 추구하

세계 최고의 플라스틱·고무 산업전시회 'K(케이)'

전 세계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환경보호의 바람을 타고 2025년까지 현재보다 두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 속에, 국내에서도 대기업을 중심으로 친환경 플라스틱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치열한 기술경쟁을 벌이고 있다. 탄소중립 및 친환경의 최전방에 선 혁신기술 선두기업들이 대거 참여하는

DKSH, ‘온실가스 배출량 40% 감축’ 목표 조기 달성

DKSH는 이산화탄소 총 배출량을 지난해 40% 줄였다. 이는 당초 목표치(2025년 35% 감축)보다 앞당겨 달성한 것으로, ‘지속가능성’이라는 기업 가치와 함께 ESG 경영에 한 발짝 더 다가서는 등 가시적 성과를 거두고 있다. DKSH가 발표한 ‘2021년 지속가능성’ 보고서에 따르면, 자체 온실

JEC World 2022 혁신상 시상식, 프랑스 파리에서 온라인 생중계

복합소재 산업의 성공적인 프로젝트와 업계 간 협력을 기념하는 JEC 복합소재 혁신상 시상식이 프랑스 현지시간인 26일 오후 열린다. 올해 시상식은 5월 3일부터 5일까지 사흘간 개최하는 국제 복합소재 전시회(JEC World 2022) 일주일을 앞두고 진행하는 것으로, 온라인으로 전 세계에 생중계 할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