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카드뉴스]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경기도가 58.8%로 절반 이상 차지

경기도, 2030년 물동량···2020년 대비 81.0% 증가할 것

[카드뉴스]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경기도가 58.8%로 절반 이상 차지 - 산업종합저널 기타
[카드뉴스]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경기도가 58.8%로 절반 이상 차지 - 산업종합저널 기타
[카드뉴스]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경기도가 58.8%로 절반 이상 차지 - 산업종합저널 기타
[카드뉴스]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경기도가 58.8%로 절반 이상 차지 - 산업종합저널 기타
[카드뉴스]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경기도가 58.8%로 절반 이상 차지 - 산업종합저널 기타
[카드뉴스]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경기도가 58.8%로 절반 이상 차지 - 산업종합저널 기타
[카드뉴스]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경기도가 58.8%로 절반 이상 차지 - 산업종합저널 기타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이 경기도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경기도 일평균 출발·도착 물동량은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1천136만 개)의 58.8%(총 668만 개)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착량 기준 2030년 경기도 생활물류 물동량은 2020년 대비 81.0%(494만 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죠.

경기도 권역별로 살펴보면, 생활물류(택배) 시설은 경기 동부에 37.9%로 가장 많이 입지했고, 북부에는 4.2%로 가장 적게 입지해 있는 상황입니다.

연구원은 2020~2030년 예상되는 수도권 생활물류 물동량 355만 개 중 경기도가 221만 개(수도권 증가량의 62.2%)의 물동량을 차지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또한, 2030년 경기도 생활물류시설 소요면적은 413만㎡로 예측되며, 경기 서부가 약 65만㎡, 동부, 남부, 북부의 3개 권역은 약 40만㎡의 추가 면적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경기연구원은 새로운 물류시스템 구축 전략에 대해 생활밀착형 도시 생활물류 계획 수립 및 시스템 구축, 경기도 E-커머스 스마트 물류단지 확충 지원, E-커먼스 연계 풀필먼트 및 콜드체인 인프라 구축 등 첨단·융복합 지역거점 물류 인프라 및 도시 생활물류 인프라 조성을 제시했습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카드뉴스]높은 광물 의존도…국내에선 리튬·티타늄 광맥 발견

탄소중립을 비롯해 주요 산업의 변화, 공급망 리스크 등으로 어느 때보다 자원 안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여러 자원 가운데서도 핵심광물의 중요도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기차 배터리를 비롯해 태양광·풍력, 우주·항공산업 등 주요 산업에 리튬, 희토류, 텅스텐 등의 광물이 핵

[카드뉴스]올해 금융업계 디지털 전환 트렌드는?

최근 금융업계는 디지털 전환기를 통해 금융 생태계가 변화하고 있는데요. 업계 간 치열한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선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나금융연구소의 ‘2023년 은행 디지털 전환 트렌드’에 따르면, 많은 금융기관들이 디지털 기술에 대한 투자와 고객경험

[카드뉴스] 바닷물에 녹는 플라스틱?…산업부 "국내 실증화 첫 성공"

자그마치 500년. 환경오염의 주범 중 하나인 플라스틱 폐기물이 자연으로 돌아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라고 합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플라스틱 배출량은 세계3위로 1인당 연간 배출량은 88kg에 달한다고 하는데요. 석유에서 추출한 원료를 결합해 만든 기존의 플라스틱은 저렴한 가격과

[카드뉴스] 공작기계산업, 탄소중립 및 전기차 등 수요 변화에 대한 새로운 환경 직면

최근 자동차, 반도체, 전기전자, 항공, 선박 등에는 다양한 스마트 기술이 적용되면서, 이를 구성하는 정교한 부품에 대한 품질이 중요해지고 있는데요. 특히, 이를 제조하는 공작기계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산업연구원(KIET)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공작기계 시장은 201

[카드뉴스] 인간과 인공지능의 환상의 호흡, 휴먼인더루프

“저는 24시간 다양한 문의를 신속하게 도와드리는 AI상담사에요.” 한 기업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자 인공지능(AI) 상담사가 전화를 받습니다. 머신러닝, 딥러닝 기술과 함께 진화한 인공지능은 이제 우리에게 친숙한 기술이 됐는데요. 인공지능은 방대한 데이터를 단기간에 학습할 수 있어 지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