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AI 대중화 시대, “시민의 적극적 활용과 감독 필요”

서울디지털재단, 챗GPT활용법 담은 특강 진행

AI 대중화 시대, “시민의 적극적 활용과 감독 필요” - 산업종합저널 동향
서울디지털재단 최효민선임

서울디지털재단(이하 디지털재단)이 26일 대방동 서울여성가족재단 아트홀봄에서 ‘서울시민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챗GPT, 메타버스 특강’을 주제로 오프라인 특강을 진행했다.

‘일상 속 궁금증 해결을 위한 ChatGPT 활용방안’을 주제로 강연에 나선 디지털재단 최효민 선임은 크게 업무, 일상, 창작, 교육 4가지 분야에서 챗GPT를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단, 무료 서비스인 챗GPT-3는 2021년으로 데이터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확인 작업이 동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챗GPT를 일상생활에 활용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좋은 질문’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좋은 질문이란 먼저 질문에 상세한 조건을 담아야 한다. 그리고 답변을 구체화할 수 있게 추가로 질문하고, 답변을 검증할 수 있는 출처와 추가 자료를 요청해야 한다.

유의사항으로는 챗GPT의 답변엔 진실과 거짓이 혼재되어 있어 꼭 검증 과정을 거쳐야 하고, 출처표기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민감성 정보를 요청하거나 불법적인 활동에 챗GPT를 활용하는 것은 특히 주의해야 한다.

최효민 선임은 “이제는 AI 대중화 시대”라며 “초거대 인공지능으로 발전이 가속화되고, 공공영역에서 정책지능 단계로까지 확대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시민은 AI서비스 이용자로서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활용과 감독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AI 대중화 시대, “시민의 적극적 활용과 감독 필요”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입장 기다리는 참석자들

AI 대중화 시대, “시민의 적극적 활용과 감독 필요” - 산업종합저널 동향
자리가 가득찬 강연장

한편, 디지털재단은 지난 3월 ‘챗GPT 활용보고서(업무활동편)’를 발간, 홈페이지 조회수 8만 회를 기록하는 등 큰 관심을 얻은 바 있다. 이번 특강은 디지털재단이 지난 4월 발간한 ‘챗GPT 활용보고서(일상생활편, 창작활동편,교육분야편)를 토대로 선착순 300명을 받아 진행됐는데, 일주일 만에 신청이 마감되고 현장에서도 자리가 가득 차 빈자리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시민들의 관심이 뜨거웠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국산 가스터빈용 30% 수소혼소 연소기 개발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는 국산 가스터빈용 친환경 연소기가 개발돼, 현장 실증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LNG발전에 활용하는 가스터빈용 수소 혼소 연소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기계연 탄소중립기계연구소 무탄소연료발전연구실 김

실리콘 및 구리 단점 그래핀으로 해결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재료연구본부의 ‘미래 모빌리티 배터리 및 전장부품용 금속/그래핀 복합전극 개발’ 성과가 올해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올랐다. 한국전기연구원은 9일 한국100선 중에서도 12개 성과만 뽑히는 최우수(기계·소재 부문)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차세대 E-모빌

물 속 미세플라스틱 제거 기술 개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과 공동으로 물 속 마이크로(㎛)~나노미터(㎚)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을 걸러내는 친환경 미세플라스틱 제거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미세플라스틱은 지름이 5㎜ 미만인 플라스틱 입자로, 처음부터 작게 만들어진 ‘1차 미세플라스틱’과 잘

AI 대중화 시대, “시민의 적극적 활용과 감독 필요”

서울디지털재단(이하 디지털재단)이 26일 대방동 서울여성가족재단 아트홀봄에서 ‘서울시민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챗GPT, 메타버스 특강’을 주제로 오프라인 특강을 진행했다. ‘일상 속 궁금증 해결을 위한 ChatGPT 활용방안’을 주제로 강연에 나선 디지털재단 최효민 선임은 크게 업무,

홀로그램 시장 견인할 소재 기술 공개

국내 연구진이 자동차용 홀로그래픽 HUD(Head-Up Display, 헤드-업 디스플레이) 확장현실(XR) 스마트 글라스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기대되는 홀로그램 기록 소재를 공개했다. 한국화학연구원 가재원 박사 연구팀과 경북대학교 김학린 교수 연구팀은 최근 발표된 연구 논문에서, 광역학 메커니즘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