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국가표준 제정돼

개발, 서비스 시 필요한 윤리적 고려 항목 제시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국가표준 제정돼 - 산업종합저널 동향

국가기술표준원(이하 표준원)이 인공지능(AI) 윤리 점검 서식에 대한 국가표준(KS)를 제정했다.

13일에 제정된 ‘정보기술 – 인공지능 – 인공지능 윤리에 대한 이해관계자 공통 영향 요소 및 유스케이스 수집 템플릿(표준번호 KSX801)’은 AI 개발자·서비스 제공자가 데이터 수집, AI 설계 등의 과정에서 템플릿을 통해 스스로 점검해 보면서 윤리적 사항을 고려하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템플릿의 내용은 ▲심각성 수준 ▲인공지능 윤리 책임 주체 ▲발생 가능한 윤리적 문제 내용 기술 ▲단계별 윤리적 문제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 및 주요 검토 요소 등으로 구성돼있다.

표준원은 KSX801이 2021년부터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AI 윤리 표준화 포럼’에서 논의와 검증 과정을 거쳐 개발됐다고 설명했다.

표준원 표준정책국 이경희 과장은 본지와의 전화에서 “KS표준은 규제도 아니고 꼭 지켜야 할 의무사항도 아니다”라며 “템플릿을 작성해 보면서 개발 과정에서 놓쳤던 부분을 서비스 과정에서 체크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참고용”이라고 말했다.

추후 계획을 묻자 “전문가들과 논의를 지속하고 있고, 해당 템플릿은 국제기구에서 발표도 했다”라며 “템플릿의 내용을 국제 표준으로 제안할 계획도 가지고 있다”라고 밝혔다.
김대은 기자
kde125@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AI, 글로벌 경제의 패러다임을 바꾸다

AI 기술이 빠른 속도로 진화하면서 산업 구조와 노동시장, 각국 정책 전반에 걸쳐 근본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기업은 자동화를 도입해 생산성을 높이는 한편, 정부는 연구개발 확대와 제도 정비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기술 혁신을 넘어 경제 질서와 사회 시스템 전반을 새롭게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