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인공지능 생태계 독점 우려…“국내 기업 적극 지원해야”

진입장벽 높은 초거대 AI, 기술 독점 및 권력화 가속

[뉴스그래픽]인공지능 생태계 독점 우려…“국내 기업 적극 지원해야” - 산업종합저널 동향

최근 인공지능(이하 AI) 생태계가 폐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국내 기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한국수출입은행이 지난달 25일 발표한 ‘2023년 인공지능 글로벌 트렌드(이하 보고서)’는 ‘최근 AI 생태계는 글로벌 빅테크 기업 중심으로 빠르게 독점화 중이며, 주류 플랫폼의 독식이 우려된다’라고 진단했다.

AI의 상업화는 생성형 AI의 활용성과 가치가 발굴되며 급격히 진행됐다. 산업계 적용 사례가 빠르게 증가하고, 기술발전의 주체도 학계에서 산업계로 이동했다. 2018년 이후 발표된 인공지능 모형들은 대부분 기업이 제작했다.

생태계가 커져도 시장 진입은 어렵다. 우수한 인공지능을 제작하려면 많은 데이터와 컴퓨팅 파워가 필요한데, 소수의 기업만 감당할 수 있다. 더구나 관련 투자와 인력도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세계 최정상급 대학으로 집중되고 있다.

오픈소스 기반 AI 기술도 비공개로 전환됐다. 오픈AI는 올해 3월부터 파라미터 수와 학습 방법을 공개하지 않았고, 구글도 챗GPT 발표 후 다른 회사에 도움이 될 만한 논문 발표를 금지했다.

보고서는 ‘초거대 AI는 플랫폼 생태계로 발전하고 있으며, 두 세 개의 플랫폼이 시장을 점유하는 승자독식 형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하며, ‘국내 유망 기업의 생존을 위한 지원, AI 가치사슬 참여를 위한 정책적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뉴스그래픽]9월 산업활동, 선행 및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흐름 상이

국내 전월대비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하락,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1%p 상승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3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9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9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2로 전월대비 0.1p 하락했다. 순환변동치가 100 미만이면 추세보다

[뉴스그래픽] 2023년 기계산업, 경기 침체 분위기 속 긍정적 요인 존재

올해 한국의 기계산업 경기가 안정 또는 침체 분위기가 이어지지만, 약간의 긍정적 요인과 기회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기계연구원(KIMM)이 최근 발표한 ‘기계산업 2022년 성과와 2023년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기계산업의 생산은 전년대비 3.9% 증가한 112

[뉴스그래픽] AI 고도화로 대체될 직업은?

챗GPT의 충격적인 등장으로, 코로나19 발병 이후 메타버스에 꽂혀있던 우리의 시선은 어느새 AI를 향하고 있다. IT업계를 넘어 각종 산업계, 심지어 행정·법조계에까지 AI의 영향력이 미치면서 인류는 ‘AI가 우리의 삶을 어디까지 바꿀 것인가’에 대해 연일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금융

[뉴스그래픽]직업 전문가, “인공지능은 일자리 빼앗지 않아…변화시킬 뿐”

인공지능은 커다란 변화를 몰고 올 4차 산업혁명의 대표 기술이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엔 두려움과 기대가 혼재돼 있다. 고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해방시켜 줄 것이라는 기대와 인공지능 로봇에게 일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두려움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다. 직업 전문가들은 인공지능의 ‘직무

[뉴스그래픽] 전경련, “‘이트모’ 확보위해 ‘한국형 국제감축모델’ 개발해야”

정부가 지난 21일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2023∼2042년) 정부안을 발표한 가운데, 국제 감축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파리협정’ 체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일본의 국제 감축 전략을 벤치마킹해 한국형 국제 감축 모델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