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2040년 이후 글로벌 LNG 수요 증가 전망

쉘, 2024 LNG 전망 보고서 발표

2040년 이후 글로벌 LNG 수요 증가 전망 - 산업종합저널 에너지
쉘 2024 LNG 전망 보고서 인포그래픽

글로벌 에너지 기업 쉘(Shell)이 LNG(액화천연가스) 시장의 주요 트렌드와 향후 수요 및 공급 전망을 담은 ‘LNG 전망 보고서(LNG Outlook)’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석탄에서 천연가스로의 산업용 에너지원 전환을 가속화하고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경제 성장을 위해 더 많은 LNG를 사용함에 따라 2040년까지 글로벌 LNG 수요가 5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 LNG 거래량은 2022년 3억 9천700만t(톤)에서 2023년 4억 400만t으로 소폭 증가했는데, 이는 타이트한 공급량으로 인해 성장이 둔화된 동시에 가격과 가격 변동성은 평년 수준 이상으로 유지됐기 때문이다.

천연가스에 대한 수요는 일부 지역에서는 이미 정점을 찍었으나 전 세계적으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업계 추산에 따르면 2040년에는 LNG에 대한 연간 수요가 6억2천500만 톤에서 6억 8천500만 톤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스티브 힐(Steve Hill) 쉘 에너지 대표(Executive Vice President)는 보고서에서 '중국은 2030년까지 세계 LNG 수요의 증가를 주도할 것으로 전망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산업용 에너지원을 석탄에서 천연가스로 전환시키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중국은 또한 세계에서 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곳 중 하나이자, 석탄 기반의 철강 산업 배출량이 영국, 독일 튀르키예의 총 배출량보다 더 많은 곳이다. 천연가스는 중국의 탄소 배출량 저감과 지역 대기오염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향후 10년 동안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자체 가스 생산량이 감소하는 한편, 화력 발전 및 산업용 가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LNG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분석했다. 다만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가스 수입 인프라에 상당한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쉘은 전체 발전 중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은 국가에서는 천연가스가 풍력 및 태양에너지를 보완해 단기적으로는 유연성을, 장기적으로는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유럽 에너지 안보
2022년 러시아의 대유럽 파이프라인 가스 수출이 급감한 이후, 새로운 가스 재기화 설비가 확충되면서, LNG는 2023년 유럽 에너지 안보에 있어 지속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23년 유럽 가스 수요가 전반적으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LNG 수입량은 2022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난방을 가스에 의존하는 국가들의 상대적으로 온화했던 겨울 기온, 충분한 가스 저장량, 원자력 발전의 증가, 그리고 중국의 완만한 경기 회복세의 영향으로 2023년 전세계 가스 시장은 균형을 이뤘다.

이러한 요인들은 2023년 유럽 및 동아시아의 주요 수입 지역에서 가스 가격이 인하되고 안정화되는 데 도움이 됐다. 그러나 이는 2021년 말부터 2022년 사이에 형성됐던 전례 없는 높은 가격과 변동성에 대비한 수준이며,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기간의 가격 및 변동성에 비해서는 여전히 높은 수치다.

2023년은 세계 공급망이 원활했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의 대유럽 파이프라인 가스 공급 부족과 LNG 공급의 성장 둔화로 인해 글로벌 시장은 구조적으로 여전히 경색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한국, 첨단기술 국가 순위 세계 5위…바이오 부문은 10위

한국이 글로벌 첨단기술 경쟁력에서 세계 5위를 기록했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는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벨퍼센터의 최근 발표자료를 인용해 이 같이 밝혔다. 인공지능(AI), 바이오, 반도체, 우주, 양자 등 5대 기술 분야에 걸쳐 25개국의 기술력을 비교한 ‘핵심 및 신흥기술지수(

중고 거래, 소비문화로 정착… “이젠 선택이 아닌 일상”

중고 거래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빠르게 바뀌고 있다. ‘남이 쓰던 물건’이라는 편견은 사라졌고, 중고 거래는 경제적 실용성을 넘어 개성과 가치 소비를 중시하는 새로운 소비 문화로 확장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변화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구조적인 소비 행태로 자리 잡고 있다고 진단한다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뉴스그래픽] 올해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 1천255억 달러 전망

글로벌 반도체 장비 시장이 인공지능(AI) 수요와 첨단 공정 전환에 힘입어 2025년 사상 최대 규모인 1,255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SEMI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반도체 장비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전년 대비 7.4% 증가한 수치로 2026년에는 1,381억 달러까지 확대될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회복 신호 속 누적 실적 감소

지난 9월 공작기계 시장은 중동 지역의 불안정한 정세와 미국 대선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미국, 인도, 멕시코 등 주요 국가로의 수출 증가로 회복세를 보였다. 3개월 만에 수출이 2억 달러를 넘어서며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9월 국내 공작기계 수주는 2천349억 원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