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중동 초대형 프로젝트와 유럽·동남아 시장 다변화 성과

[뉴스그래픽] 해외 플랜트 수주, 341억 달러로 9년 만에 최대 기록 - 산업종합저널 플랜트

한국기업들이 지난 한 해 해외에서 플랜트를 수주한 금액은 총 340.7억 달러(약 50조 원) 규모로 나타났다. 이는 2023년 대비 12.7% 증가한 수치로, 2015년(364.7억 달러) 이후 9년 만에 최대 실적이다.

중동 지역에서의 대형 프로젝트 수주가 이번 성과의 중심에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전체 수주 금액의 약 46%에 해당하는 155.2억 달러가 중동에서 이뤄졌으며, 이는 2022년 고위급 경제 외교의 성과가 실제 계약으로 이어진 결과로 평가했다.

대표적으로, 삼성E&A와 GS건설이 공동 수주한 사우디 파딜리 가스 플랜트 증설 프로젝트는 73억 달러 규모로, 원전을 제외한 단일 플랜트 프로젝트 중 역대 최대 금액으로 기록됐다. 이와 함께 삼성물산이 수주한 카타르 Facility E 담수 복합 발전소(28.4억 달러)도 국내 기업의 EPC(설계·조달·시공) 능력을 글로벌 시장에 입증한 사례로 꼽힌다.

전통적으로 중동에 집중되던 플랜트 수주 시장이 동유럽과 동남아 지역으로 확대된 점도 주목할 만하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세르비아에서 태양광 발전소(16.8억 달러) 프로젝트를 수주하며 동유럽 시장에서 총 47.1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23년 대비 250.6% 증가한 성과로, 유럽 전체 수주 금액은 65.8억 달러에 달했다.

동남아 시장에서도 삼성E&A의 말레이시아 피닉스 바이오 정유 시설(9.5억 달러) 프로젝트 수주 등으로 33.9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79.1% 증가했다.
플랜트 산업은 기계·장비와 설치 공정을 포함해 설계, 시공, 유지·보수까지 아우르는 융합 산업으로, 관련 기자재 생산, 엔지니어링, 컨설팅, 파이낸싱 등 전후방 연계 효과가 크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러한 플랜트 수주 확대를 위해 ▲국내 EPC 기업 간담회 개최, ▲대외경제장관회의를 통한 핵심 프로젝트 집중 지원, ▲해외 공관 네트워크를 활용한 발주 현황 점검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은 “해외 플랜트 수주는 생산 설비 수출의 선도적 역할을 하며, 우리 경제의 중요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수주 상승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2040년 이후 글로벌 LNG 수요 증가 전망

글로벌 에너지 기업 쉘(Shell)이 LNG(액화천연가스) 시장의 주요 트렌드와 향후 수요 및 공급 전망을 담은 ‘LNG 전망 보고서(LNG Outlook)’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이 석탄에서 천연가스로의 산업용 에너지원 전환을 가속화하고 남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경제 성장을 위해

지난해 국내 태블릿 시장 372만 대 출하

지난해 국내 태블릿 시장은 372만 대를 출하했다. 전년 동기 대비 25.9% 감소한 수치다. IT 시장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Ltd., 이하 한국IDC)가 최근 발표한 국내 태블릿 시장 연구 분석에서 같은 기간 20.5% 하락한 전 세

[뉴스그래픽] 국내 공작기계 시장, 8월 수출 부진 지속

8월 국내 공작기계 시장은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와 국제 정세 불안정의 여파로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주요 수출국인 미국, 이탈리아, 튀르키예 등의 시장에서 하락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공작기계 수출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8월 공작기계 수주 감소세 8월 공작기계 수주

기업 10곳 중 6곳, 업무 자동화에 생성형 AI 도입

글로벌 기업 10곳 중 6곳은 업무 자동화에 이미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도입했으며,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80%는 올해 기업 성장을 긍정적으로 전망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은 딜로이트 글로벌과 포춘(Fortune)이 공동으로 진행한 ‘글로벌 CEO 서베이’를

소상공인 대출 상환 부담 경감 위한 금융 지원 3종 세트 본격 가동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 3일 관계 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종합 대책'의 주요 과제인 '금융 지원 3종 세트'의 세부 이행계획을 발표했다. 3종 세트는 소상공인의 대출 상환 부담을 대폭 경감해 주는 프로그램으로, 상환 연장 제도 개편, 전환보증 신설, 대환대출 지원 대상 확대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