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전기차 장점 ‘저렴한 유지비’, 주행거리 제약 충전 번거로움 ‘애로’

충전 인프라 확대(52%) 및 구매 지원 확대(34%) 희망

전기차 장점 ‘저렴한 유지비’, 주행거리 제약 충전 번거로움 ‘애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대한민국 대표 EV 산업 전시회 ‘EV 트렌드 코리아 2024(EV TREND KOREA 2024)’ 사무국은 지난 2월 6일부터 26일까지 성인남녀 5,942명을 대상으로 전기차 선호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2018년부터 7회째 진행한 전기차 선호도 조사로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파악, 전기차 지원정책 마련 및 소비자 인식조사를 위해 기획했다.

올해는 지난해 대비 응답 참여자 수가 174% 증가하고 전기자동차 사용 여부에 따라 구별된 문항으로 환경부의 친환경 자동차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설문결과와 다양한 의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올해 전기차 선호도 결과에 따르면, 전기차 사용 여부를 묻는 질문에 18%(1천84명)가 전기차를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 중 과반수가 넘는 인원이 전기차의 가장 큰 장점으로 ‘연료비용 절감 등 저렴한 유지비(60%, 650명)’를 선택했는데, 최근 고유가 현상 장기화로 내연기관 차량의 유지비 부담이 증가한 것과 비교되면서 많은 선택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전기차를 사용하며 느낀 가장 큰 불편 및 애로사항으로 ‘주행거리 제약으로 인한 충전의 번거로움(36%, 390명)’을 가장 많이 뽑았으며, 뒤를 이어 ‘충전 인프라 부족(28%, 304명)’과 ‘높은 차량 가격(27%, 293명)’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응답자 10명 중 6명이 ‘전기차 충전’에 애로사항을 겪고 있었으며, 3명은 전기차의 높은 가격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 전기차를 사용하지 않는 응답자(4천858명) 중 85%(4천129명)가 전기차 구매의사를 밝혔으며, 향후 5년 이내 구입하겠다는 응답자가 80%를 차지했다. 가장 높은 구매의사를 보인 시기는 ‘1년~3년 이내(40%, 1천652명)’였으며, ‘3년~5년 이내(32%, 1천321명)’, ‘5~10년 이내(20%, 826명)’가 다음을 따랐다.

전기차 구매의사가 있는 응답자의 전기차 구입 시 가장 큰 고려사항은 지난해(24%)과 비교해 3% 증가한 ‘차량 가격(27%, 1천115명)’이 많았으며, ‘1회 충전 후 주행거리(25%, 1천32명)’는 작년(26%)보다 1% 감소하며 응답 순위에 변화가 있었다.

전기차 장점 ‘저렴한 유지비’, 주행거리 제약 충전 번거로움 ‘애로’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뒤를 이어 ‘거주지 내 충전소 설치 여부(20%, 826명)’, ‘지역 내 보조금 여부(15%, 619명), ‘연료비용 절감 등 적은 유지비용(11%, 454명)’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3%가 차량 가격, 지역 내 보조금, 적은 유지비용 등 ‘비용’과 연관된 응답을 선택하며 ‘전기차 충전’보다 ‘비용’에 조금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차 구매의사가 있는 응답자의 86%가 전기차 적정 가격대로 ‘5천만 원 이하’를 희망했으며, ‘3천만 원 초과 5천만 원 이하(63%, 2천601명)’, ‘3천만 원 이하(23%, 950명), ‘5천만 원 초과 8천만 원 이하(13%, 536명)’ 순으로 답했다.

전기차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공통 문항인 전기차 정책에 대한 의견을 묻는 문항에서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52%, 3천90명)’가 가장 응답이 많았으며, 지난해(49%)보다 3% 높아졌다. 이어서 세금 감면, 구매 보조금 등 ‘전기차 구매 지원 확대(34%, 2천20명)’, 주차요금 할인, 통행료 감면 등 ‘전기차 운행 혜택 강화(11%, 654명)’ 순으로 관련 정책이 늘었으면 좋겠다는 의견을 보였다.

같은 문항을 전기차 사용자의 응답만 분석한 결과, 응답 결과 순위는 동일하나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46%, 499명)’, ‘전기차 구매 지원 확대(31%, 336명)’는 전체와 비교해 응답률이 낮아진 반면, ‘전기차 운행 혜택 강화(20%, 217명)’는 증가했다. 전기차 사용자는 전기차 충전, 구매 비용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기차 운행 혜택에 대한 관심 역시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EV TREND KOREA 2024 사무국 관계자는 “지난해 대비 응답자가 2배 이상 증가하는 등 7회째를 맞이한 전기차 선호도 설문조사를 통해 전기차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며, “특히 올해는 다양한 의견에 귀 기울이기 위해 전기차 사용자와 구매 예정자를 구분해 설문을 진행했으며, 도출된 결과는 국내 전기차 보급 활성화를 위해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가 주최한 EV 트렌드 코리아 2024는 국내 대표 EV 산업 전문 전시회로 전기차 관련 기업 총 86개사, 445 부스 규모로 3월 6일부터 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