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MZ세대 '정주여건만 잘 갖춰지면 비수도권도 좋아”

우선순위는 ‘교통’(51%), ‘주거환경’(47%), ‘의료’(34%), ‘문화?쇼핑’(33%), ‘교육’(24%)

#1. 비수도권 출신으로 서울에서 인턴 생활을 하고 있는 33세 B씨(여)는 “또래와의 경쟁,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상경했지만 수도권은 복잡하고 불편한 점도 많다. 적성에 맞는 일자리와 나의 라이프스타일을 유지할 수 있는 문화‧편의시설이 지방에도 갖춰진다면 언제라도 귀향할 수 있다”고 말했다.

#2. 수도권 출신으로 해외 대학원에 재학 중인 27세 A씨(남)는 “쾌적한 주거환경과 수도권 수준의 편의시설이 갖춰져 있다면 비수도권에 거주할 의사가 있다”며 “쇼핑몰, 영화관, 스포츠 등 소비와 여가생활이 가능한 도심까지 빠르게 이동할 수만 있다면 복잡하고 경쟁이 치열한 수도권에서 꼭 살아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2030 세대가 살고 싶어하는 도시는 교통‧주거환경‧편의시설과 같은 ‘정주여건’이 잘 갖춰져 있는 곳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대한상의 소플(소통플랫폼)을 통해 수도권‧비수도권 거주 2030 세대 600여 명을 대상으로 ‘내가 살고 싶은 도시’를 조사한 결과, 비수도권 거주 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도권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정주여건’이라는 응답이 4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수도권과 비슷하거나 더 높은 연봉의 일자리’(29.8%), ‘연봉과 정주여건 둘 다 충족해야’(26.6%), ‘잘 모르겠음’(2.0%) 순으로 조사됐다. <‘기타’ 0.4%> 즉 생활여건 및 인프라가 맞으면 꼭 수도권을 고집하지는 않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MZ 세대, 수도권, 비수도권이냐는 절대적인 기준 아니야
비수도권 2030을 대상으로 수도권 이주 의향이 있는지 물어봤더니 ‘의향이 있다’(36.5%), ‘의향이 없다’(38.6%), ‘잘 모르겠다’(24.9%)로 나타나 비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2030 세대 3명 중 1명 이상이 수도권으로 떠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도권 선호도는 20대가 44.6%로 30대(38.9%)보다 높았고, 여성(43.8%)이 남성(39.7%)보다 높게 나타나 연령이 낮을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이 수도권 이주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을 대상으로 비수도권 이주 의향을 물어봤더니 ‘의향이 있다’(31.7%), ‘의향이 없다’(45.7%), ‘잘 모르겠다’(22.6%)로 나타나 역시 3명 중 1명이 비수도권으로 이주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수도권 거주 2030 중에서도 비수도권 이주 의향이 있다는 응답이 적지 않았다”며 “이는 기존 통념과 다소 차이가 있는데, MZ 세대는 자신의 삶의 기준에 부합한다면 수도권이냐 비수도권이냐는 절대적인 기준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주여건 우선순위는 ‘교통’, ‘주거환경’, ‘의료’, ‘문화‧쇼핑’, ‘교육’(24%)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이주하고 싶다고 응답한 20‧30을 대상으로 정주여건 중 어떤 조건이 충족되면 비수도권에 남을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는 ‘대중교통 접근성과 편리성’이 50.9%로 가장 많아 교통 편리성을 가장 중요하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주거환경(주택 편의성, 녹지 등)’(46.9%), ‘의료 인프라‧서비스’(33.6%), ‘문화‧쇼핑 등 편의시설’(33.3%), ‘교육기관 수준’(23.6%)이 뒤를 이었다. <복수응답>

내가 살고 싶은 지역 도시가 갖춰야 할 교통환경에 대해서는 ‘편의시설 등 주요 인프라가 집중된 도심과의 연결성 향상’(35.8%)이 ‘수도권과의 접근성 향상’(29.7%)보다 높게 나타나 수도권과의 접근성보다 내가 살고 있는 도시 내에서의 교통 편리성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서는 ‘지역과 지역간 접근성 향상’(18.5%), ‘지하철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대’(16.0%)를 꼽았다.

이 밖에도 내가 살고 싶은 지역 도시가 우선적으로 갖춰야 할 편의시설로 ‘영화관‧공연장 등 문화시설’(67.6%), ‘쇼핑몰‧대형마트’(63.6%), ‘레스토랑‧카페 등’(30.9%), ‘스포츠‧레저 시설’(28.7%) 순으로 꼽았다. <복수응답>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대학병원 등 상급의료기관 접근성’(41.5%), ‘의료기관 증가 및 인프라 개선’(36.3%), ‘의료서비스의 다양성‧질 개선’(22.2%) 등을 꼽았고, 교육환경에 대해서는 ‘평생교육‧직업 훈련 프로그램’(45.3%), ‘중‧고등학교 경쟁력 강화’(40.6%), ‘대학교 경쟁력 강화’(40.2%), ‘유치원 및 초등학교 교육 수준 향상’(29.3%) 순으로 답했다. <복수응답>

조성환 대한상의 지역경제팀장은 “이번 대한상의 소통플랫폼 조사는 2030 세대가 기성세대의 인식과는 다르게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방식을 충족할 수 있다면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굳이 구분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지역정책의 방향도 이에 맞게 바뀌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팀장은 이어서 “그동안 수도권 집중 현상이 비수도권 지역의 약화·소멸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야기해 왔다”고 지적하고 “일할 사람과 소비자가 있다면 기업의 투자도 자연스럽게 늘어날 수 있는 만큼 지역에 미래 세대가 살고 싶어하는 정주환경을 세심하게 설계한다면 지역균형발전과 국가 성장잠재력 제고를 달성하는 해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삼성전자, 글로벌 반도체 시장 1위 탈환…AI 반도체·메모리 시장 성장세

가트너(Gartner)는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전년 대비 18.1% 성장해 6천260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2025년 반도체 매출은 7천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조지 브로클허스트 가트너 부사장은 “데이터센터용 GPU 및

생성형 AI, 국내 기업·공공기관 변화 이끌다… 한국IDC 보고서 공개

IT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Ltd., 이하 한국IDC)는 최근 발표한 ‘국내 생성형 AI 업무 적용 사례 연구(Generative AI Use Cases: Adoption and Priorities in Korea)’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직의 생성형 AI 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