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한일중 ‘3국간 경제협력 반드시 필요’ 한목소리

한국_경제협력 기대효과, 日_경제 활성화, 中_공급망 안정

한일중 ‘3국간 경제협력 반드시 필요’ 한목소리 - 산업종합저널 동향

한일중 주요 기업인들은 3국 간 경제협력 필요성에 공감하며, 특히‘경제 활성화’와 ‘공급망 안정’ 분야에 대한 기대감을 보였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0일 발표한 '한일중 경제협력에 대한 기업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3국 간 경제협력의 필요성과 자사 경영에 대한 영향에 대해 응답한 기업인 전원이 긍정적인 의견을 표명했다.

조사는 지난달 27일 열린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에 참석한 3국의 주요기업 CEO들 181명을 대상으로 각국의 언어로 제작된 조사표를 현장에서 배포하는 방식으로 시행됐다.

3국간 경제협력 필요성 만장일치 ‘필요’
‘한일중 3국 간 경제협력의 필요성’에 대해 묻는 질문에 3국 기업인들은 모두 “반드시 필요하다”(82.4%) 또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17.6%)라고 응답했다.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한 기업인은 단 한명도 없어 3국 CEO들이 만장일치로 경제협력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경제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응답자의 비율은 국가별로 차이를 나타내, 중국측 CEO들이 가장 적극적으로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드시 필요하다’ 응답비율 : 中(91.3%)> 韓(84.8%)> 日(70.5%) 〉

‘3국 간 경제협력 확대가 귀사의 기업경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도 응답자 전원이 ‘긍정적 영향’을 기대한다고 응답했다. 〈‘매우 그렇다’ 65.4%, ‘그렇다’ 34.6%〉 다만, 가장 적극적인 기대감을 나타내는 “매우 그렇다”라는 응답자의 비율은 국가마다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번에도 중국측 CEO들이 가장 적극적인 기대감을 표명한 것으로 집계됐다. 〈‘매우 그렇다’ 응답비율 : 中(67.4%)> 韓(65.2%)> 日(63.6%)〉

주요기업 CEO들은 ‘3국 간 경제협력의 기대효과’로 ▲경제 활성화(47.8%) ▲공급망 안정(41.2%) ▲저출생·고령화 문제 완화(5.9%) ▲제4국 공동진출 확대(5.1%) 등을 꼽았다. 국가별 응답내용을 살펴보면 한국과 일본은 ‘경제 활성화’(韓 84.8%, 日 54.5%)를 기대하는 기업인이 가장 많았고, 중국은 ‘공급망 안정’(84.8%)을 기대하는 기업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인식차이는 3국 기업인들이 경제협력을 통해 각국의 당면 과제를 해결하려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기업인들은 ‘3국 간 경제협력을 우선 추진해야하는 분야’로 ▲기후변화 대응(33.8%) ▲금융·통화 협력(19.9%) ▲의료 협력 및 고령화 대응(19.1%)등을 꼽았다. 〈여타 응답 : 디지털 협력(16.9%), 재난·안전 대응(10.3%) 順〉 이 경우에도 국가마다 우선 순위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금융·통화 협력’(26.1%)을 최우선 분야로 꼽은 반면, 일본은 ‘기후변화 대응’(54.5%)을 중국은 ‘의료 협력 및 고령화 대응’(30.4%)을 각각 우선 추진돼야 할 분야로 꼽았다.

소통·교류, 외교적 협력, 기술교류 등 노력 필요
‘경제협력 활성화를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묻는 질문에는 ▲민간 차원의 소통·교류 확대(52.9%) ▲정부 차원의 외교적 협력 강화(25.0%)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여타 응답 : 공동 R&D 등 기술교류 확대(15.5%), 제4국 공동사업 확대(6.6%) 順〉 이번에는 3국 모두가 공통적으로 ‘민간 차원의 소통·교류 확대’(韓52.2%, 日68.2%, 中39.1%)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상의 관계자는 “기업인들이 민간 교류를 통해 경제협력의 물꼬를 트고, 국민들의 지지를 얻으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3국의 주요 CEO들은 경제협력의 필요성과 긍정적 효과에 대해 확신에 가까운 공감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향후 대한상의는 3국간 민간 경제협력 실무협의체를 구성해 이번 조사에서 확인된 각국의 우선 추진과제와 기대 효과 등의 실행을 위한 공동연구 사업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한상의는 지난달 27일 상공회의소회관에서 일본경제단체연합회, 중국국제무역촉진위원회(CCPIT)와 공동으로 ‘제8차 한일중 비즈니스 서밋’을 개최했다. 이번 서밋을 주관한 3국 경제단체는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의 실행을 지원하고, 비즈니스 서밋의 주제 발표에서 논의된 내용을 실행하기 위한 공동성명서를 발표했다. 공동성명서에는 3국 경제계가 경제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적극적으로 협력하겠다는 다짐과 함께 3국 간 민간 경제협력 실무협의체를 마련하겠다는 계획도 포함됐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삼성전자, 글로벌 반도체 시장 1위 탈환…AI 반도체·메모리 시장 성장세

가트너(Gartner)는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전년 대비 18.1% 성장해 6천260억 달러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2025년 반도체 매출은 7천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조지 브로클허스트 가트너 부사장은 “데이터센터용 GPU 및

생성형 AI, 국내 기업·공공기관 변화 이끌다… 한국IDC 보고서 공개

IT 시장 분석 및 컨설팅 기관인 인터내셔날데이터코퍼레이션코리아(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 Korea Ltd., 이하 한국IDC)는 최근 발표한 ‘국내 생성형 AI 업무 적용 사례 연구(Generative AI Use Cases: Adoption and Priorities in Korea)’ 보고서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 조직의 생성형 AI 도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