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글로벌 반도체 제조 산업, 2024년 3분기 강력한 성장세 기록

웨이퍼 팹 생산능력 확대, 메모리 IC 설비투자 급증

글로벌 반도체 제조 산업, 2024년 3분기 강력한 성장세 기록 - 산업종합저널 동향
KLING AI 생성이미지

올해 3분기 글로벌 반도체 제조 산업이 2년 만에 모든 주요 지표에서 성장세를 보였다.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SEMI와 반도체 전문 조사기관 테크인사이트가 발표한 ‘반도체 제조 모니터링(Semiconductor Manufacturing Monitor)’에 따르면, AI 데이터센터 투자가 이러한 성장을 주도한 가운데 소비자 제품, 자동차, 산업용 반도체 시장의 회복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세는 올해 4분기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지난 상반기 감소했던 전자제품 판매는 3분기에 전분기 대비 8% 반등했으며, 4분기에는 2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IC 매출은 3분기에 전분기 대비 12%, 4분기에는 10% 추가 성장이 전망된다. 올해 전체 IC 매출은 전년 대비 20% 증가가 예상되며, 데이터센터 메모리 칩 수요와 칩 가격 개선이 이러한 추세를 이끌고 있다.

반도체 설비투자는 상반기 감소세에서 벗어나 3분기부터 성장세로 전환됐다. 특히 메모리 IC 시장의 개선이 두드러져, 3분기 메모리 설비투자는 전분기 대비 34%, 전년 동기 대비 67% 급증했다. 4분기 총 설비투자액은 3분기 대비 27%,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메모리 관련 설비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39% 성장하며 전체 설비투자 증가를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장비 부문은 중국의 지속적인 투자와 HBM(High Bandwidth Memory) 및 고급 패키징 분야의 투자 확대로 강세를 이어갔다. 올해 3분기 웨이퍼 팹 장비 투자는 전분기 대비 11%,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테스트 및 패키징 매출 역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0%와 31% 증가하며 성장세를 지속햇다.

글로벌 반도체 제조 산업, 2024년 3분기 강력한 성장세 기록 - 산업종합저널 동향

이 기간 웨이퍼 팹 생산능력은 분기당 4,140만 개의 웨이퍼(300mm 환산 기준)에 도달했으며, 4분기에는 1.6% 증가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파운드리 및 로직 반도체 생산능력은 3분기에 2.0%, 4분기에는 2.2% 더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메모리 분야 생산능력은 3분기 0.6% 증가에 이어 4분기에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HBM 수요가 성장을 뒷받침할 것으로 분석됐다.

SEMI의 클락 청(Clark Tseng) 시니어 디렉터는 “반도체 장비 부문은 중국과 첨단 기술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특히 파운드리와 로직 부문의 생산능력 확대는 첨단 반도체 기술 수요를 충족하려는 업계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테크인사이트의 보리스 메토디에프(Boris Metodiev) 시장 분석 이사는 “소비자 제품, 자동차, 산업용 반도체 시장은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AI 분야의 성장으로 메모리와 로직 제품의 평균 판매 가격이 상승했다”며 “2025년 금리 인하로 소비심리가 개선되면 소비자 및 자동차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차, 산업용 반도체 시장이 어려움을 겪는 동안 AI 분야는 크게 성장해 메모리 및 로직 제품의 평균 판매 가격을 높였다. 그리고 2025년의 금리 인하로 인해 소비자 심리가 개선돼 소비를 촉진하게 되고, 이는 곧 소비자 시장과 자동차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라고 예측했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불필요한 소비를 멈춘 '요노(YONO)' 트렌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바로 ‘요노(YONO, You Only Need One)’ 트렌드다. 이 트렌드는 말 그대로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의미로, 꼭 필요한 물건만 구매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현명한 소비 행태를 가리킨다. 경제 불안과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바이오 인공장기, 의료 혁명 이끌까… 심장이식 대기자들에게 희망

최근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병원에 긴급 후송된 환자는, 쓰러진 지 5분이 넘은 바람에 심장이 멈췄다. 이 환자는 보조장치인 ECMO(체외막 산소화장치)를 사용하여 연명했지만, 심장은 결국 10일 후에야 다시 뛰었고, 그 기능은 70%에도 미치지 못했다. 결국 이 환자는 사망에 이르게 되었다.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