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아세안 반도체 산업, 미·중 경쟁 속 새로운 강자로 부상

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 세계 반도체 수출 19.5% 차지하며 성장세 가속화

아세안 반도체 산업, 미·중 경쟁 속 새로운 강자로 부상 - 산업종합저널 전자

미·중 반도체 패권 경쟁 속에서 아세안(ASEAN) 반도체 산업이 주목받는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 회장 윤진식)는 27일 발간한 보고서 ‘아세안 반도체 산업의 도약: 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을 중심으로’에서 아세안 지역이 반도체 후공정의 강점을 활용해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말레이시아·싱가포르·베트남은 2022년 기준 세계 반도체 수출의 19.5%를 차지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말레이시아와 베트남의 연평균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각각 10.7%, 27.3%로, 한국과 중국보다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들 국가는 전기·전자산업 경쟁력과 적극적인 외국인 직접투자(FDI) 유치 덕분에 글로벌 기업들의 주요 투자처로 자리 잡고 있다. 삼성, 인텔, 글로벌파운드리 등의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국의 대중국 제재로 인해 아세안 지역으로 진출하는 중국 기업들도 증가하는 추세다.

아세안의 반도체 산업은 조립·테스트·패키징 등 후공정 분야에 특화되어 있다. 보고서는 이들 국가가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제재 대상과 거리가 멀어, 제재 강화 시에도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분석했다. 첨단 패키징 기술은 글로벌 수요가 증가하는 분야로, 아세안과의 협력 가능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말레이시아는 1천억 달러 규모의 투자로 첨단 패키징 기술 개발과 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베트남은 2050년 반도체 매출 1천억 달러를 목표로 생태계 조성을 강화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세제 혜택과 기술 혁신을 통해 해외 투자 유치를 확대하고 있다.

보고서는 아세안과의 협력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반도체 공급망을 다각화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제언했다. 한국은 후공정 분야의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한 상황으로, 아세안과의 협력을 통해 이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풍부한 노동력을 보유한 아세안 국가와의 공동 인력 양성도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허슬비 한국무역협회 연구원은 “아세안은 한국의 후공정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라며 “아세안 국가들의 대미·대중 협력 수준이 상이하기 때문에, 미국 신행정부의 통상정책에 맞춘 맞춤형 협력 전략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생성형 AI와 ChatGPT 무엇이 다를까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생성형 AI와 ChatGPT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두 기술은 모두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지만, 서로 다른 목적과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대규모 데이터

불필요한 소비를 멈춘 '요노(YONO)' 트렌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바로 ‘요노(YONO, You Only Need One)’ 트렌드다. 이 트렌드는 말 그대로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의미로, 꼭 필요한 물건만 구매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현명한 소비 행태를 가리킨다. 경제 불안과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DPP 도입, 국내 기업에 도전이자 기회

2027년부터 EU가 디지털제품여권(DPP) 제도를 순차적으로 의무화하면서, 국내 기업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5일 'EU 디지털제품여권(DPP) 동향 및 GS1 국제표준 기반 대응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DPP 정책 동향과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디지털제품여권(DP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