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반도체와 SSD가 주도…

수출 205억 달러 기록, 전년 동월 대비 13개월 연속 상승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반도체와 SSD가 주도… - 산업종합저널 전자

정보통신산업(ICT) 수출이 11월 205억 달러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 200억 달러를 넘어섰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 13개월 연속 성장세를 보였고, 누적 수출액은 2,124억 달러로 전년 대비 26.1%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은 강세 지속
반도체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30.3% 늘어난 124.6억 달러로 집계됐다. 메모리 반도체는 AI 서버용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확대에 힘입어 52.0% 급증한 79.6억 달러를 기록했고, 시스템 반도체 역시 1.9% 성장하며 39.6억 달러를 달성했다. 반도체 누적 수출액은 1천275억 달러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 두 배 가까이 상승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SSD 수요 증가에 따라 전년 동월 대비 98.6% 급등한 14.9억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데이터센터 서버용 SSD는 194.2% 뛰어오르며 수출을 견인했다.

디스플레이·휴대폰 수출은 감소
디스플레이는 가전제품 수요 부진으로 20.1% 하락한 16.7억 달러에 그쳤다. 휴대폰 역시 일부 부품 수요 위축으로 6.2% 감소한 14.5억 달러를 나타냈다. 반면 베트남 시장에서는 휴대폰 수출이 15.8%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정보통신산업(ICT) 수출, 반도체와 SSD가 주도… - 산업종합저널 전자

지역별 수출 현황
미국은 반도체와 SSD 수출 증가에 힘입어 성장세를 보였다.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9.8% 증가했으며, SSD를 포함한 컴퓨터 및 주변기기 수출은 350.8% 급증했다. 이로 인해 전체 수출액은 47.5% 확대된 30.4억 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은 반도체와 휴대폰 수요가 늘면서 수출액이 5.7% 증가한 33.0억 달러를 달성했다. 이는 16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간 결과다.

중국(홍콩 포함)에서는 반도체 수출이 소폭 상승했으나, 휴대폰과 디스플레이 수출 부진이 영향을 미쳤다. 반도체는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했지만, 전체 수출액은 2.2% 감소한 79.1억 달러에 그쳤다.

유럽연합(EU)에서는 휴대폰과 SSD 수출이 각각 68.1%와 71.3% 증가하며 전체 수출액이 5.7% 확대된 10.7억 달러로 집계됐다.

일본의 경우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출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휴대폰과 컴퓨터·주변기기 수출이 부진했다. 이로 인해 전체 수출액은 4.5% 감소한 3.0억 달러에 머물렀다.

ICT 수입도 상승세…반도체와 SSD 주도
11월 ICT 수입액은 124.4억 달러로 반도체와 SSD가 수입 증가를 이끌었다. 반도체는 25.1% 늘어난 65.7억 달러, SSD가 포함된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23.3% 증가한 12.0억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디스플레이와 휴대폰은 각각 22.9%, 31.6% 감소해 대조를 이뤘다.

정부 관계자는 “AI 시장 성장과 데이터센터 확대가 반도체와 SSD 수출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다”며 “ICT 수출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생성형 AI와 ChatGPT 무엇이 다를까

인공지능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생성형 AI와 ChatGPT가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두 기술은 모두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지만, 서로 다른 목적과 특징을 갖고 있다. 우선, 생성형 AI는 텍스트, 이미지, 음성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대규모 데이터

불필요한 소비를 멈춘 '요노(YONO)' 트렌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 눈에 띄게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바로 ‘요노(YONO, You Only Need One)’ 트렌드다. 이 트렌드는 말 그대로 ‘하나만 있으면 충분하다’는 의미로, 꼭 필요한 물건만 구매하고 불필요한 소비를 줄이는 현명한 소비 행태를 가리킨다. 경제 불안과

AI 기술의 눈부신 발전, 명과 암

최근 AI(인공지능) 기술의 눈부신 발전은 산업과 우리의 삶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AI 기술은 인간의 지능과 능력을 모방하고 확장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AI 기술은 생산성 향상, 효율성 증대, 새로운 산업 창출, 일자리 창출, 인간의 삶의 질 향상 등 다양한 긍정적인 효

이차전지 제조장비, 차세대 기술로 2030년 50조 원 시장 전망

이차전지 제조장비 산업이 2030년까지 5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특히 건식 전극 공정과 전고체 배터리가 차세대 핵심 기술로 주목받으며, 관련 기술 개발과 글로벌 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이하 기계연)은 최근 발간한 ‘기계

2025년 소비 시장 5대 키워드 'S.N.A.K.E' 제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가 2025년 소비 시장을 이끌 5대 키워드로 ‘S.N.A.K.E’를 선정하며, 경기 둔화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유통 기업들이 생존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는 7일 발표한 ‘2025 유통산업 백서’를 통해 S.N.A.K.E(Survival, Next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