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마키나락스와 산업 특화 엣지 AI 혁신 협력

급성장하는 엣지 AI 시장…제조업 혁신 가속화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마키나락스와 산업 특화 엣지 AI 혁신 협력 - 산업종합저널 FA
마키나락스 윤성호 대표(좌), 티노 힐데브란트 한국지멘스 선임 부사장 및 디지털인더스트리 부문장(우)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Digital Industries, 이하 DI)가 산업 특화 AI 기업 마키나락스(MakinaRocks)와 산업 특화 엣지 AI(Industrial Edge AI)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3일 발표했다. 이번 협약은 엣지 AI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제조업 혁신을 앞당기기 위한 전략적 협력의 일환이다.

시장조사기관 포춘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글로벌 엣지 AI 시장 규모는 2023년 약 204.5억 달러(27조 원)에서 2032년 2천698억 달러(351조 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엣지 AI는 기업 현장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와 의사 결정을 가능하게 하며, 중앙 서버로의 데이터 전송을 최소화해 지연 시간을 줄이고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제조 현장에서 자동화 및 효율성 증대를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협력을 통해 두 기업은 AI 및 산업 디지털 전환을 위한 플랫폼 기반 엣지 솔루션과 AI 기술 고도화를 추진한다.
한국지멘스 디지털 인더스트리, 마키나락스와 산업 특화 엣지 AI 혁신 협력 - 산업종합저널 FA

한국지멘스 DI는 공장 및 설비 자동화를 위한 PLC, IoT 융합, 디지털 트윈, 엣지 솔루션 등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산업 특화 소프트웨어의 운영과 활용을 지원한다.

마키나락스는 AI 플랫폼 ‘런웨이(Runway)’를 기반으로 이상탐지, 최적화, 산업용 LLM, 머신비전 등 산업 특화 AI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지멘스 엣지 솔루션과 통합해 제공한다. 이를 통해 AI 모델의 유연한 현장 배포와 대규모 생산시설 운영 최적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티노 힐데브란트 한국지멘스 선임 부사장 겸 디지털 인더스트리 부문장은 “산업 특화 AI 기업 마키나락스와의 협력이 한국지멘스 DI의 OT 기술 및 엣지 솔루션에 AI 경쟁력을 더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현실과 디지털의 융합을 통해 AI 대전환 시대에 한국 산업의 든든한 동반자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성호 마키나락스 대표는 “제조 OT 분야의 선두주자인 한국지멘스 DI와 협력해 엣지 디바이스의 패러다임을 자동화에서 지능화로 발전시키는 의미 있는 첫걸음을 내딛었다”며 “산업 현장의 최전선에서 지능화를 실현하는 엣지 AI 솔루션으로 기업들이 초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기술의 진화와 미래, 공존하는 '기회'와 '우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 그 영향력은 산업, 의료, 교육, 금융 등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으며, AI를 활용한 자동화와 데이터 분석 기술이 많은 일상적 과제를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AI의 발전이 가져올 미래에는 기대와 함께 우려도 존재한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대한민국 제조업, 인공지능(AI) 자율제조로 혁신

산업통상자원부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조업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인구구조 변화, 탄소 감축 등 현안 문제를 해결할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산업부는 28일 안덕근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협약식'을 열고, 현대자동차, GS칼텍스, 삼성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