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윙배너

수소 충전 시 온도 상승 차단… 기계연, 고압 충전 효율 높이는 신기술 개발

냉각장치 없이 안정적 충전 실현… 인프라 구축 비용 절감 기대

수소 충전 시 온도 상승 차단… 기계연, 고압 충전 효율 높이는 신기술 개발 - 산업종합저널 기계
‘수소 충전 시 충전탱크 온도상승 방지 기술’을 개발한 한국기계연구원 부산기계기술연구센터 원전기기검증연구실 연구팀(왼쪽부터 조대원 책임연구원, 박태국 책임기술원, 김대환 책임연구원, 강진훈 선임연구원, 김상교 선임기술원)

한국기계연구원이 고압 수소 충전 시 발생하는 탱크 내부 온도 상승을 원천적으로 억제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해당 기술은 냉각 시스템 없이도 안정적인 수소 충전을 가능하게 하며, 충전 시간 단축과 인프라 구축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기계연 부산기계기술연구센터 원전기기검증연구실 김대환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비압축성 유체를 활용해 수소 충전 중 발생하는 단열 압축 현상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탱크 내부 온도 상승을 5℃ 이내로 제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기존 -40℃로 냉각된 수소를 주입하던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어, 냉각 없이도 고속 충전이 가능해졌다.

이번 기술은 수소 충전에 앞서 탱크 내부에 비압축성 유체인 물을 주입한 후, 수소 주입과 동시에 유체를 회수함으로써 단열 압축에 따른 온도 상승과 압력 상승을 효과적으로 막는 원리다. 기계연은 350bar 수준의 수소 충전 환경을 모사한 시험을 통해 실증을 마쳤으며, 해당 기술이 실제 충전 시 충전 효율을 크게 높인다고 설명했다.

수소 충전 시 온도 상승 차단… 기계연, 고압 충전 효율 높이는 신기술 개발 - 산업종합저널 기계
한국기계연구원 부산기계기술연구센터 김대환 책임연구원(왼쪽 첫번째)이 수소 충전 실증시험 장비 내부 수위계측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기존 방식은 냉각 장비의 설치와 유지 비용이 높고 충전 속도가 느려 상용화에 어려움이 있었다. 반면, 이번 기술은 냉각장치 없이도 충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충전소 설비 구축과 운용에 드는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동시에 탱크 내부 부품의 열화도 억제돼 장기적인 내구성과 유지관리 효율성 역시 개선된다.

김대환 책임연구원은 “이번 기술은 기존 수소 충전 방식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한 전환점이며, 수소차뿐 아니라 선박, 열차, 군용 차량 등 대용량 수소 모빌리티에도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며 “수소경제 활성화와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기계연의 기본사업 중 ‘수소 충전 시 충전탱크 온도 상승 방지 기술 개발’ 과제를 통해 수행됐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세계 최초 고압 분사 방식 2리터급 친환경 암모니아 엔진 개발 성공

온실가스 발생이 없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를 연료로 사용하는 2리터급 엔진이 개발됐다. 이 기술은 향후 차량, 선박, 항공용 모빌리티의 동력원과 산업용 발전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활용될 전망이다. 한국기계연구원(기계연) 친환경에너지연구본부 박철웅 책임연구원

실리콘 포토닉스 4-큐비트 칩/패키지 사진 및 양자회로 개념도

세계 최초 8광자 큐비트 집적회로 칩 개발 성공 ETRI, 양자 얽힘 구현한 실리콘 포토닉스 칩 성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세계 최초로 8개의 광자를 이용해 양자 얽힘을 구현한 큐비트 집적회로 칩을 개발했다. 이번 성과는 ETRI의 양자컴퓨터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중요한 진전으로

국내 연구진, 세계 최초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 발견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상온에서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 현상을 관측하며, 기존 스핀트로닉스 연구의 한계를 넘어설 가능성을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이경진·김갑진 교수와 서강대학교 정명화 교수 공동 연구팀이 양자역학적 스핀 펌핑을 실험적으로 입증했다고 5일 발표했다. 연구

EU 환경규제 넘는 ‘PVDF 대체 배터리 바인더’, 국내서 나왔다

KERI(한국전기연구원) 절연재료연구센터 임현균·강동준 박사팀이 KIST 유정근 박사, 성균관대 김종순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차전지 분야의 ‘숨은 주역’인 바인더 성능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높이면서 친환경 소재까지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저명 학술지에 논문이 게재됐다.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CCU 기술 개발

이산화탄소를 고부가가치 화합물로 만드는 CCU 기술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이효영 교수 연구팀은 새로운 가시 광촉매를 활용해 이산화탄소와 메탄올로부터 항공유 첨가제로 널리 사용되는 디메톡시메탄(Dimethoxymethane)을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CCU 기술은 이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