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우즈벡 최대 식품전시회 ‘우즈푸드 2025’ 한국관 첫 운영

농식품부-KOTRA, 우즈벡 최대 식품 전시회서 K-푸드 첫 선

우즈벡 최대 식품전시회 ‘우즈푸드 2025’ 한국관 첫 운영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우즈베키스탄 최대 식품박람회인 ‘우즈푸드 2025’에서 한국관이 처음으로 운영됐다. 농림축산식품부와 KOTRA는 4월 8일부터 10일까지 열린 전시회에 13개 K-푸드 기업의 참여를 지원하며 한국 식품의 현지 시장 진출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우즈베키스탄에서 K-푸드의 인기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올해로 24회를 맞은 ‘우즈푸드 2025’는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식품박람회로, 올해 30개국 400여 개사가 참여했다. 한국관은 처음으로 구성됐고, 13개 K-푸드 기업이 홍삼, 라면, 음료, 밀키트 등 현지에서 인기가 높은 제품들을 선보였다. 이 기간 동안 84개사의 유망 바이어와 163건의 상담이 이루어졌고, 총 478만 달러 규모의 상담 성과를 기록했다.

우즈베키스탄 소비자들은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K-드라마와 K-팝 등 한류의 영향으로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현지에는 한국 문화와 친숙한 고려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어, 문화적 친밀감이 한국 식품 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매년 한국과 우즈베키스탄을 오가는 인원도 10만 명을 넘으며, 한국 식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우즈벡 최대 식품전시회 ‘우즈푸드 2025’ 한국관 첫 운영 - 산업종합저널 전시회

현지에는 ‘더 마트(The Mart)’와 ‘아이마트(I Mart)’ 등 한국 편의점과 유사한 유통 채널이 있으며, 라면과 초콜릿 과자류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한국 식품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트렌디한 먹거리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점차 확산되고 있다. 2024년 한국의 우즈베키스탄 식품 수출액은 2,586만 달러로, 2021년 629만 달러에서 311% 성장했다.

한국관에서 라면과 밀키트 제품을 선보인 참가기업 H사는 “우즈베키스탄에서 한국 식품에 대한 높은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던 뜻깊은 자리였다”며, “이를 바탕으로 현지 시장 진입 전략을 더욱 구체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김성수 KOTRA CIS지역본부장은 “이 전시회는 농식품부와 KOTRA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신시장 개척 사업의 첫 사례”라며, “K-푸드의 현지 진출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