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후보지로 수원·파주·의정부 선정

경기경제자유구역 추가 후보지로 수원·파주·의정부 선정 - 산업종합저널 정책

경기경제자유구역청이 경제자유구역 확대를 위한 개발계획 변경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원, 파주, 의정부 3개 시를 연구용역 대상지로 선정했다.

경기경제청은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도내 시군을 대상으로 추가 지정 신청을 공모했다. 수원, 광명, 파주, 양주, 의정부가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선정평가위원회가 서류심사, 현장심사, 최종심사를 거쳐 수원시, 파주시, 의정부시를 최종 후보지로 결정했다.

평가에서는 각 지역의 산업 발전 가능성과 경제자유구역 실현 가능성을 중심으로 검토가 이뤄졌다. 수원시는 권선구 서수원 일대 3.24㎢ 부지에 반도체 중심의 연구개발 기반 첨단산업을 유치하는 계획을 제시했다. 파주시는 교하동 일원 5.43㎢에 미디어콘텐츠, 디스플레이, 바이오의료 산업을 조성할 방침이다. 두 지역 모두 외국인 투자 유치와 핵심 전략산업 유치에 대한 준비성과 투자여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의정부시는 가능동과 금오동 일원 0.98㎢ 부지에 미디어콘텐츠와 인공지능(AI), 바이오메디컬 산업을 중심으로 첨단산업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미군 반환공여지 활용 가능성 등 경기북부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계획이 차별성 요소로 작용했다.

경기경제청은 이들 후보지를 대상으로 올해 상반기 중 개발계획 변경안 수립 연구용역에 착수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신청 지구를 확정할 예정이다. 다만 일부 지역은 투자 수요에 부합하는 면적 조정이나 부지 공급 일정 조율 등 보완이 필요하다는 평가도 나왔다.

최원용 경기경제자유구역청장은 “전국 경제자유구역 면적이 약 271㎢에 달하는 반면, 경기지역은 5.24㎢에 불과하다”며 “수도권 규제와 군사 제한 등으로 지속적인 불이익을 받아온 경기북부 지역을 포함해 첨단산업 유치를 위한 토대를 넓히고, 경기도 위상에 부합하는 경제자유구역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경기도에서는 평택포승, 평택현덕, 시흥배곧 3개 지구(총 5.24㎢)가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돼 있으며, 안산과 고양에서도 추가 지정을 위한 절차가 진행 중이다.
김지운 기자 기자 프로필
김지운 기자
jwkim@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이재명 대통령, 첫 내각 인선 발표…“위기 극복과 국민통합 이끌 적임자들”

이재명 대통령이 4일 제21대 대통령 취임 직후, 새 정부를 이끌 첫 내각 인선을 직접 발표했다. 이 대통령은 “즉시 업무가 가능한 능력과 전문성, 성과를 낼 수 있는 정치력과 소통 능력을 갖춘 인사를 중용했다”며 각 인사의 배경과 기대를 상세히 설명했다. 김민석 국회의원, 국무총리

신용취약 소상공인 대상 정책자금 지원, 최대 3천만 원 직접대출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은 지난 5일 발표된 ‘소상공인·자영업자 맞춤형 지원 강화방안’의 일환으로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을 6일부터 접수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저신용 소상공인 자금’은 민간 금융기관을 통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신용취약

정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3월부터 본격 지원

환경부는 26일 브리핑을 통해 2025년 전기차 충전시설 지원 사업을 3월 초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올해 충전시설 설치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6천187억 원으로, 급속충전기 보급에 3,757억 원, 스마트제어 완속충전기 확대에 2천430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류필무

쓸수록 돌려받는 ‘상생페이백’ 9월 15일 신청 시작

정부가 다음달 15일부터 새로운 소비지원 정책인 ‘상생페이백’을 시행한다. 만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2024년에 카드 사용 실적만 있으면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제도는 국민의 체감 혜택과 소상공인 매출 증대를 동시에 겨냥한 소비 촉진책으로 마련됐다. 상생페이백

2024년 글로벌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 감소… 하반기 회복 전망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실리콘 웨이퍼 출하량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122억 6,600만 in²을 기록했다. 매출은 6.5% 줄어든 115억 달러로 집계됐다. SEMI는 반도체 업계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웨이퍼 출하량과 매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