윙배너

산업AI 개발에 4천800억 원 투자, 전 산업 고도화 본격 추진

AI팩토리, 자율주행차, 반도체 등 445개 과제에 집중 지원…전년 대비 2.5배 확대

산업AI 개발에 4천800억 원 투자, 전 산업 고도화 본격 추진 - 산업종합저널 정책
생성형 AI 이미지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산업 인공지능(AI) 기반 생산성 혁신과 신산업 창출을 위해 총 4,787억 원을 445개 과제에 투자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2023년 대비 2.5배 늘어난 수치로, 기존 297개 과제에 더해 올해 새롭게 시작되는 148개 과제를 포함한 규모다.

AI팩토리(44개 과제, 627억 원), 자율주행차(82개 과제, 1,206억 원), 첨단바이오(80개 과제, 682억 원), 인공지능 반도체(20개 과제, 216억 원), 지능형로봇(31개 과제, 296억 원), 디스플레이(14개, 138억 원), 핵심소재(17개 과제, 277억 원), 에너지신산업(10개 과제, 74억 원)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집중 투자된다.

우선, 다수 업종에서 공통 활용 가능한 특화 AI 모델을 개발해 중소·중견기업들이 적은 비용으로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대표 과제인 AI팩토리는 예지보전, 품질검사, 최적운영 등 전 공정에 AI를 접목한 솔루션을 개발해 표준화된 산업 데이터를 축적하고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바이오와 이차전지 등 산업별 수요에 맞춘 AI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전 밸류체인에 적용함으로써 생산성과 경쟁력을 강화한다. 첨단바이오 분야에서는 의약품 제조 과정에서 불순물 발생을 예측·차단하는 AI 기술이 개발되며, 실사용 기업이 개발단계부터 참여하는 방식으로 실증을 병행한다.

또한, 산업AI 확산을 위한 인프라 조성에도 투자를 확대한다. AI 반도체와 센서 등 핵심 부품 개발, 산업 데이터의 표준화, 대형 테스트베드 구축 등을 통해 산업AI 생태계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산업부는 기존 R&D 체계에서 벗어나 1~2년 안에 성과를 도출하는 단기 집중형 사업 구조로 개편하고, 산업 AI 맞춤형 평가 체계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한 전략기획단 내 산업AI 전담 MD(Managing Director)를 신설해 과제 기획과 조정 기능을 강화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제조 강국인 한국이 글로벌 AI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려면 산업AI에 대한 선제적 투자가 필수"라며, "AI 팩토리, 에너지 AI, 유통 AI, 연구개발 AI 등 전방위 확대 전략을 통해 고부가가치 제조업 혁신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박재영 기자 기자 프로필
박재영 기자
brian@industryjournal.co.kr


0 / 1000


많이 본 뉴스

AI 시장, 2032년 1.7조 달러 규모로 급성장... 한국 기업 '기회의 문' 열리나

글로벌 데이터 폭증과 고령화 추세가 인공지능(AI) 산업 혁명을 가속화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들의 AI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되고 있다.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 규모는 2024년 2천334억 달러에서 2032년 1조 7천716억 달러로 연평균 29.2%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생성형 A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2027년까지 전력 부족 위기 예상

AI와 생성형 AI 기술의 빠른 발전과 함께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2027년까지 일부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부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가트너는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로 인해 기업들이 전력 비용 인상과 지속가능성 문제에 직면할 것이라 전망했다. AI와 데이터센터 전

중소기업 AI 도입 지원 본격화… 정책과제와 법안 마련 착수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23일 서울 광화문 빌딩에서 중소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중소기업 AI 정책자문단’(이하 정책자문단)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정책자문단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AI 기술 활용 확대를 위해 정책과제를 도출하고, ‘(가칭)중소기업 A

AI 도입, 매출 4%·부가가치 7.6% 증가…생산성 개선은 '아직'

국내 기업의 인공지능(AI) 도입이 매출과 부가가치 향상에 기여했다는 실증 분석 결과가 나왔다. 그러나 도입률은 여전히 낮고, 특히 제조업 분야에서는 활용이 더딘 상황이다. 산업 전반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산하 지속성장이니

AGI, 인간 지능을 넘보다… 해외 언론이 주목한 전망과 과제

인공일반지능(AGI)의 발전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AGI는 특정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과 유사한 지능을 갖춘 인공지능을 의미하며, 경제·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해외 주요 언론과 전문가들은 AGI의 실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도전 과제, 경제적·윤리적 이슈를 다각도로






산업전시회 일정


미리가보는 전시회